EXPRESSIONAutosway Expression_02

motionlab
조회수 4837


3. Autosway 삭제하기

익스프레션들을 사용하다 보면, 그것을 생성하는 것보다 삭제하는 것이 더 짜증날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눈에 보이지 않는 스크립트들이 거미줄처럼 엮여있는 것이 많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요즘 나오는 것들 중에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들은 Delete 버튼을 가지고 있습니다. Autosway 익스프레션도 Delete 버튼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서 적용했던 것들을 삭제하려면, 맨 위에 있는 [SwayControl1]_Shape Layer1 레이어만 선택하고 Delete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나머지 3개의 레이어들도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대신에 맨 처음 만들었던 Shape 레이어와 거기에 있는 Puppet Pin Tool은 삭제되지 않습니다. 

 

 

4. Autosway 옵션

Autosway를 보면 Option이라는 버튼이 있습니다. 여기서의 옵션은 환경 설정 정도로 보면 됩니다. 


- Reverse start point and end point: 

    시작하는 Puppet Pin Tool과 끝나는 Puppet Pin Tool을 바꿔줍니다. 


- Random lag factor: 

    Lag 값을 랜덤으로 설정합니다.


- Reverse lag factor: 

    Lag 값을 거꾸로 설정하여 움직이게 합니다. 


- Lock null layer: 

    타임라인에 있는 Puppet Pin Tool 레이어들을 움직이지 못하게 Lock으로 설정합니다.


- Fix end point(PuppetPinTool use only): 

    Puppet Pin Tool에만 적용되며, 맨 마지막 Puppet Pin Point를 고정시킵니다.


- Don’t fix start point: 

   맨 처음 지정했던 Puppet Pin Point를 고정하지 않습니다.

   오브젝트 전체가 자유롭게 움직이게 할 때 사용합니다.


 

 

5. Autosway Copy Tool

01. Autosway의 옵션 값들이 생각보다 많기 때문에 한번 설정된 값을 다른 오브젝트에 적용하는 것은 여간 까다로운 작업이 아닙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옵션들 중에 있는 Copy Tool의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기능은 다른 오브젝트에 적용된 Autosway 설정 값들을 다른 오브젝트에 그대로 카피하여 복제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먼저, 하나의 Shape Layer를 만든 다음에 Puppet Pin Tool로 3개의 포인트를 찍어주고, 여기에 Autosway를 적용합니다. 그런 다음, Sway distance와 Lag factor 값을 각각 1362, 389로 설정합니다.

 

02. 여기에 새로운 White Shape 레이어를 하나 만듭니다. 그런 다음에 3개의 Puppet Pin Point를 앞서 오브젝트에 만든 것처럼 만들어 줍니다. 그런 다음 레이어를 선택하고, PuppetPinTool Mode에 있는 Apply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마도 아무런 효과가 나지 않을 것입니다.

 

03. CopyTool은 레이어에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새로 만든 Shape layer 2에 PuppetPinTool Mode를 Apply 시켜서 앞서 작업한 것과 동일하게 만들어 줍니다.

 

04. 타임라인을 확인해보면, 그럼처럼 새로 만든 흰색의 Shape Layer 2 위에 컨트롤을 할 수 있는 Autosway 레이어들이 생겨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5. 이제 CopyTool을 클릭합니다.

 

06. AutoSwayCopy라는 새로운 윈도우가 나타납니다. Copy할 소스와 Paste할 소스를 팝업 메뉴에서 지정해 주기만 하면 됩니다. 혹시, 팝업 메뉴에 아무런 메뉴도 나타나지 않는다면 Refresh를 눌러주면 됩니다.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익스프레션이라서 변화된 것을 인지하기 위해서는 Refresh가 필요합니다.

 

07. Copy하는 소스는 [SwayControl1]_Shape Layer 1, Paste하는 소스는 [SwayControl1]_Shape Layer 2를 지정해 줍니다.

 

08. 그런 다음에 Apply 버튼을 누르면 다시 한번 명령을 확인하는 스크립트 경고창이 나옵니다. 잘못하면 설정해 놓은 값이 다른 값으로 대체되기 때문에 다시 한번 확인 과정을 거치는 것입니다. Yes를 눌러줍니다. 그런 다음에 애니메이션을 해보면, 앞서 적용한 Shape Layer 1의 움직임과 동일하게 Shape Layer 2가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6. Layer Mode 알아보기

01.이번에는 Layer Mod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말 그대로 Layer Mode는 레이어를 가지고 만들 수 있는 Mode로써, 하나가 아닌 다중의 레이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02. Layer Mode 옆에 있는 Tool 버튼을 먼저 클릭해 보면, Autosway Tool 윈도우가 나타납니다. 크게 Split Layer와 Duplicate Layer로 나뉩니다. Split Layer는 이미지를 원하는 갯수와 방향으로 나눠주는 역할을 합니다. Duplicate Layer는 원하는 숫자만큼 레이어를 복제하여 늘려줍니다. 물론, 갯수만 많게 늘려주는 것이 아니라, 중심점, 위치, 사이즈, 회전, 투명도 등이 변화되면서 숫자를 늘려주는 것이 가능하므로 재미난 작업들을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03. 먼저, Split Layer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Division은 몇 개로 레이어를 나눌지를 결정하는 곳입니다. 일단, 3으로 입력합니다. 레이어가 나뉘어졌을 때, 레이어의 중심점을 중앙으로 하기 위해서는 CenterPoint에서 정 가운데 부분을 클릭해줍니다. Horizontal division을 선택합니다.

 

04. 그럼처럼 나뉘어진 레이어의 정 중앙에 중심점이 위치하였으며, 총 3개의 레이어가 만들어 졌습니다. 타임라인을 확인해보면, 총 3개의 컴포지션이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5. 이번에는 CenterPoint를 상단 중앙으로 하고, Vertical division을 선택하여 Apply 버튼을 누릅니다. 컴포지션 윈도우를 확인해 보면 됩니다.

 

 06. Tile은 말 그대로 우리들 집에 있는 타일처럼 나눠줍니다. 만약, 3 Division을 했다면 3 x 3이 되어 총 9개의 레이어가 생긴다는 말입니다.

 

 

07. 이번에는 Duplicate 레이어를 활용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레이어를 조금 작게 만들어서 왼쪽에 배치시켜봤습니다.

 

 

08. 레이어를 선택하고, Duplicate 레이어에서 Copy layer를 3으로, Position을 250으로 설정한 다음에 Apply 버튼을 클릭합니다.

 

09. X축으로 250 픽셀씩 공간을 가지면서 총 3개의 복제된 레이어들이 자동으로 배치되었습니다.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