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TORIALAdobe Premiere Pro 주요 Export Setting 옵션

motionlab
조회수 5048

1) Export Setting에서 인코딩 과정의 결과만을 취할 때


Adobe Media Encoder CC는 Premiere Pro CC와는 밀접한 관계로 거의 필수 적인 요소에 해당됩니다. 종합 편집 도구인 Premiere Pro CC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실행하거나 연동 프로그램으로 인코딩 과정을 도맡고 있기 때문입니다. 편집 요소가 가미되어 결과물을 인코딩하는 것은 기본적인 프로세스이지만, 작업의 성격에 따라, 때로는 인코딩 과정에서만 사용하는 옵션에 의해 창출되는 결과물도 탄생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인코딩에만 영향을 미치는 옵션의 활용에 대해 알아봅니다.


2) Export Setting 대화상자의 구분


Export Settings 대화상자는 편집 중인 패널의 선택 여부에 따라 인코딩 대상을 결정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패널과 타임라인 패널의 활성화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여기에 소스 모니터 패널도 추가됩니다.



File > Export > Media를 실행하거나, 단축키 +을 누르면 Export Settings 대화상자가 나타납니다.



Export Settings 대화상자의 미리보기 영역에 포함되는 소스는 Summary 옵션의 Source 항목에 출력되므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시퀀스의 인코딩을 위해서는 타임라인 패널이 선택된 상태에서 Export Settings 대화상자를 열어야 하고, 프로젝트 패널과 소스 모니터 패널의 개별 소스 클립을 인코딩할 때에만 프로젝트 패널 또는 소스 모니터에서 타깃 클립을 선택해 주어야 합니다.



핵심은 간단합니다. 시퀀스 단위의 인코딩과 개별 클립 단위의 인코딩을 구분하는 취지입니다.



Export Settings 대화상자 우측 하단에는 인코딩을 위한 고급 옵션이 6개의 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Effects 탭을 클릭하면, 다시 8개의 확장 옵션이 나타납니다.




3) Lumetri Look/LUT 옵션


먼저, Lumetri Look/LUT 옵션을 체크하면, 세부 옵션을 선택할 수 있게 활성화됩니다. 우측의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Lumetri Look과 LUT 프리셋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는 드롭 다운 메뉴가 나타납니다.



목록에서 원하는 Lumetri Looks & LUTs Preset을 선택합니다. 즉시 좌측의 미리보기 영역에 색상 보정 결과가 반영되므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Lumetri Look/LUT 체크 옵션을 통해 편집 과정의 색상 보정을 생략하고 인코딩 결과물에만 색상 보정이 적용되게끔 작업할 때 효율적입니다.



또한, Select 옵션을 통해 Looks & LUTs 파일을 직접 선택하여 적용시킬 수도 있습니다.




4) SDR Conform 옵션


SDR Conform 옵션을 체크하면 Brightness, Contrast, Soft Knee 등 3가지 서브 옵션이 활성화됩니다.



이것은 시퀀스의 HDR 소스를 SDR 영상으로 전환하거나 일치시킬 때 사용합니다. Brightness는 SDR과 일치된 출력의 명도 값을 가감하여 밝기를 조정하고, Contrast 값을 좌우로 드래그하면 SDR로 출력되는 대비 값을 조정합니다. Soft Knee 옵션은 압축모드로 명도와 대비 값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5) 미리보기 영역 제어 팁


Export Settings 대화상자 좌측은 미리보기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단 중앙에 화면 확대/축소 옵션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팝업 메뉴에서 직접 배율을 선택해 줄 수 있으나, 단축키를 사용하면 더욱 편리합니다.



+<->를 누를 때마다 미리보기 영역의 화면이 축소되어 나타나고, 반대로 +<+>를 누를 때마다 미리보기 배율이 확대되어 나타납니다.




6) Image Overlay 옵션


인코딩 과정에서 별도의 Image 파일을 이용하여 오버레이 효과를 가미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Image Overlay 옵션을 체크하면 세부 옵션이 활성화되고, Applied 옵션 우측의 아래 화살표를 누르면 오버레이 이미지에 사용할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 메뉴가 나타납니다. Choose를 선택합니다.



Select an Image 대화상자에서 오버레이 효과로 사용할 이미지 클립을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합니다.



파일을 선택하면 곧바로 미리보기 영역에 오버랩 이미지가 적용되어 나타납니다. Clear를 선택하면 원상 복귀됩니다.



Position 옵션으로 오버레이 위치를 설정하고 Offset 옵션으로 가로, 세로 오프셋 값을 설정합니다.



Image Overlay 옵션은 Opacity 값에 따라 결정됩니다. 불투명도를 조율하여 소스와 대상 이미지의 오버랩 투영도를 결정합니다.



Image Overlay 체크 옵션에서 Absolute Sizing을 체크하면, 오버레이 파일의 크기에 따라 해상도가 높으면 축소 방식으로, 낮은 해상도는 대상이 확대되는 방식으로 투영됩니다.




7) Name Overlay 옵션


Name Overlay 옵션을 체크하면 파일 이름 또는 특정 텍스트를 오버레이 형식으로 삽입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텍스트를 설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서브 옵션으로 구분되는데, Prefix는 파일 이름 앞에 표시되는 접두어를, Suffix는 파일 이름 뒤에 표시되는 접미어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텍스트를 삽입할 수 있게 해 줍니다. Format은 파일 이름 형식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소스 파일과 출력 파일의 확장자 삽입 유무까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Position 옵션으로 프레임 안에서의 오버레이 되는 위치를 결정한 다음, Offset 옵션 값으로 가로, 세로 오프셋 편차를 둡니다. 위치와 크기를 결정하면 인코딩 과정만으로 다양한 텍스트 자막을 삽입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단, 글꼴은 기본 글꼴만 적용됩니다.




8) 기타 옵션들


이밖에 타임코드를 삽입하는 Timecode Overlay 옵션과 음향 강도를 표준화시키는 Loudness Normalization 옵션 등이 있습니다.



Export Settings 대화상자는 Premiere Pro CC와 Media Encoder CC에서 동일한 옵션으로 존재하며, 인코딩에 관련된 주요 사항을 제어하는 옵션들이 많으므로 숙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Render Alpha Channel Only 옵션을 체크하면, 시퀀스에 알파채널이 부여된 부분만 렌더링되고, Use Previews 옵션을 체크하면, 시퀀스에서 키를 눌러 미리보기 임시 파일이 생성된 영역의 모든 임시 파일을 렌더링 파일로 대체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그만큼 렌더링에 소요되는 시간을 축소시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Time Interpolation 옵션은 시간 보간 법을 3가지 방식으로 조율할 때 활용하는데, 프레임 속도가 실제로 출력될 프레임 속도와 편차가 발생할 경우 근접된 프레임들을 혼합하여 부드럽게 만드는 방식을 결정합니다. 주로 슬로모션을 구축할 때 보다 부드러운 흐름의 프레임들을 창출할 때 사용하는 핵심적인 옵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