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와 2D의 경계가 점점 허물어져 가는 지금, 그 중추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플러그인이 Element 3D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Element 3D의 Texturing을 통해, 아래 그림과 같은 스타일을 연출해 보겠습니다.
1. Texture 준비
01. Element Material에 넣어 줄 Texture를 먼저 준비해 보겠습니다. 단축키 Ctrl + N을 눌러서 새 컴프를 다음과 같이 셋팅 합니다.
02. 단축키 Ctrl + Y를 눌러서 아래와 같이 셋팅한 후에 솔리드를 생성합니다.
03. Effect > Trapcode > Form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04. Base Form에서 다음과 같이 셋팅합니다.
05. Paticle 메뉴에서 Sphere Feather 값을 0으로 해서 '쨍'한 Sphere로 만들어준 후, Size를 7로 바꿔주고, Color는 Red 색상으로 바꿔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06. 이제 애니메이션을 시켜줄 Map을 제작하겠습니다. 새 컴프를 다음과 같이 셋팅합니다.
07. 아래와 같이 셋팅하고 솔리드를 생성합니다. Color는 블랙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08. 한번 더 아래와 같이 셋팅하고 솔리드를 생성합니다.
09. Effect > Generate > Radio Waves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이펙트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Radio Waves 이펙트는 화면과 같이 파형을 만들어 주는 이펙트입니다.
10. radio 솔리드를 선택하고, 아래처럼 Star Tool을 선택한 후에 Star Tool을 더블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솔리드 사이즈에 맞는 별 모양 마스크가 입혀집니다.
11. Wave Type을 아래와 같이 Mask를 선택해 줍니다.
12. Mask에서 Mask 1을 선택하면, 아래 같이 파형이 선택해 준 마스크 모양인 별 모양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3. Stroke 메뉴에서 Color는 흰색으로 바꿔주고, Start Width, End Windth를 각각 20으로 입력해 주면, 다음과 같이 변화됩니다.
14. Layer > New > Adjustment Layer를 생성합니다.
15. 생성된 Adjustment Layer에 Effect > Blur & Sharpen > Fast Blur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16. Blurriness는 30으로 설정하고, Repeat Edge Pixels를 체킹하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17. Repeat Edge Pixels를 체킹하지 않으면, Edge 부분이 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꼭 체킹해 주어야 합니다.
왼쪽부터 Repeat Edge Pixels 체킹 이미지와 Repeat Edge Pixels를 체킹하지 않은 이미지
Form에 적용할 Map이 완성되었습니다. 블랙과 화이트로 되어 있는 맵을 만들어 주었는데, 'Form Effect를 활용하여 Scale 제어하기' 강좌를 참고하길 바랍니다.
18. 이제 Texture 컴포지션으로 와서 방금 작업한 size map 컴프를 내려 놓습니다. 그리고 눈을 꺼 줍니다.
19. Layer Map > Size > Layer는 size map을 선택한 후, Map Over는 XY 축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처럼 파티클 입자의 사이즈가 size map에서 만들어 준 화이트 부분에 반응하여 화이트 부분만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 총 3개의 오브젝트에 맵핑을 해 줄 것이기 때문에, 3개의 Texture가 필요합니다. 단축키 Ctrl + N을 눌러 다음과 같이 셋팅하여 새 컴포지션을 만들어 줍니다.
21. Star Tool을 선택한 후, 더블 클릭하여 컴프 사이즈에 딱 맞는 별 모양 Shape Layer를 생성합니다.
22. 상단의 Fill 옵션을 클릭하여 그림과 같이 Fill을 꺼 줍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과 같이 Stroke만 남게 됩니다.
23. Shape Layer의 Contents > Stroke 옵션에서 Color는 파란색, Stroke Width는 20, 그리고 Dashes에서 + 버튼을 눌러서 점선으로 만들어 준 후에 Dash는 70을 입력합니다. 이러면 아래 그림처럼 점선으로 된 라인이 생성됩니다.
24. Offset 값을 주게 되면 라인이 움직이게 되는데, Offset 타임 워치에 Art +클릭하여 익스프레션 창에 time*100을 입력합니다. 초당 입력한 수치만큼, 계속해서 플러스되는 익스프레션입니다. 초당 100씩 계속해서 플러스가 되기 때문에 키를 주지 않아도 라인이 애니메이션되게 됩니다.
25. 라인이 컴프의 끝에 잘리게 되므로 Scale을 90으로 줄여서 컴프 끝에 닿지 않게 해 줍니다.
26. 이제 마지막 Texture를 만들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셋팅하여 새 컴포지션을 만들어 줍니다.
27. 펜툴을 선택하여 다음과 같이 패스를 그려 줍니다.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클릭하면 평행하게 찍어줄 수 있습니다.
28. 상단의 Stroke 옵션에서 컬러는 옐로우 계열로 두께는 65 px로 해 줍니다.
29. Add > Repeater를 추가합니다.
30. Repeater 1 옵션에서 Copies는 20으로 복사해 줍니다. Transform : Repeater 1에서 Position은 0, 160을 입력해 복사된 Shape들의 거리를 Y축으로 늘려 줍니다.
31. Layer의 Position에 키프레임을 찍고 250,0을 입력하고, 5초 후에 250, -2000을 입력하여 라인이 위로 애니메이션되게 키를 잡아 줍니다.
3개의 Texture가 모두 완성이 되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완성된 Texture를 가지고 Element 3D에서 맵핑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3D와 2D의 경계가 점점 허물어져 가는 지금, 그 중추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플러그인이 Element 3D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Element 3D의 Texturing을 통해, 아래 그림과 같은 스타일을 연출해 보겠습니다.
1. Texture 준비
01. Element Material에 넣어 줄 Texture를 먼저 준비해 보겠습니다. 단축키 Ctrl + N을 눌러서 새 컴프를 다음과 같이 셋팅 합니다.
02. 단축키 Ctrl + Y를 눌러서 아래와 같이 셋팅한 후에 솔리드를 생성합니다.
03. Effect > Trapcode > Form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04. Base Form에서 다음과 같이 셋팅합니다.
05. Paticle 메뉴에서 Sphere Feather 값을 0으로 해서 '쨍'한 Sphere로 만들어준 후, Size를 7로 바꿔주고, Color는 Red 색상으로 바꿔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06. 이제 애니메이션을 시켜줄 Map을 제작하겠습니다. 새 컴프를 다음과 같이 셋팅합니다.
07. 아래와 같이 셋팅하고 솔리드를 생성합니다. Color는 블랙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08. 한번 더 아래와 같이 셋팅하고 솔리드를 생성합니다.
09. Effect > Generate > Radio Waves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이펙트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Radio Waves 이펙트는 화면과 같이 파형을 만들어 주는 이펙트입니다.
10. radio 솔리드를 선택하고, 아래처럼 Star Tool을 선택한 후에 Star Tool을 더블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솔리드 사이즈에 맞는 별 모양 마스크가 입혀집니다.
11. Wave Type을 아래와 같이 Mask를 선택해 줍니다.
12. Mask에서 Mask 1을 선택하면, 아래 같이 파형이 선택해 준 마스크 모양인 별 모양으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3. Stroke 메뉴에서 Color는 흰색으로 바꿔주고, Start Width, End Windth를 각각 20으로 입력해 주면, 다음과 같이 변화됩니다.
14. Layer > New > Adjustment Layer를 생성합니다.
15. 생성된 Adjustment Layer에 Effect > Blur & Sharpen > Fast Blur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16. Blurriness는 30으로 설정하고, Repeat Edge Pixels를 체킹하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17. Repeat Edge Pixels를 체킹하지 않으면, Edge 부분이 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꼭 체킹해 주어야 합니다.
왼쪽부터 Repeat Edge Pixels 체킹 이미지와 Repeat Edge Pixels를 체킹하지 않은 이미지
Form에 적용할 Map이 완성되었습니다. 블랙과 화이트로 되어 있는 맵을 만들어 주었는데, 'Form Effect를 활용하여 Scale 제어하기' 강좌를 참고하길 바랍니다.
18. 이제 Texture 컴포지션으로 와서 방금 작업한 size map 컴프를 내려 놓습니다. 그리고 눈을 꺼 줍니다.
19. Layer Map > Size > Layer는 size map을 선택한 후, Map Over는 XY 축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처럼 파티클 입자의 사이즈가 size map에서 만들어 준 화이트 부분에 반응하여 화이트 부분만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 총 3개의 오브젝트에 맵핑을 해 줄 것이기 때문에, 3개의 Texture가 필요합니다. 단축키 Ctrl + N을 눌러 다음과 같이 셋팅하여 새 컴포지션을 만들어 줍니다.
21. Star Tool을 선택한 후, 더블 클릭하여 컴프 사이즈에 딱 맞는 별 모양 Shape Layer를 생성합니다.
22. 상단의 Fill 옵션을 클릭하여 그림과 같이 Fill을 꺼 줍니다. 그러면 아래 그림과 같이 Stroke만 남게 됩니다.
23. Shape Layer의 Contents > Stroke 옵션에서 Color는 파란색, Stroke Width는 20, 그리고 Dashes에서 + 버튼을 눌러서 점선으로 만들어 준 후에 Dash는 70을 입력합니다. 이러면 아래 그림처럼 점선으로 된 라인이 생성됩니다.
24. Offset 값을 주게 되면 라인이 움직이게 되는데, Offset 타임 워치에 Art +클릭하여 익스프레션 창에 time*100을 입력합니다. 초당 입력한 수치만큼, 계속해서 플러스되는 익스프레션입니다. 초당 100씩 계속해서 플러스가 되기 때문에 키를 주지 않아도 라인이 애니메이션되게 됩니다.
25. 라인이 컴프의 끝에 잘리게 되므로 Scale을 90으로 줄여서 컴프 끝에 닿지 않게 해 줍니다.
26. 이제 마지막 Texture를 만들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셋팅하여 새 컴포지션을 만들어 줍니다.
27. 펜툴을 선택하여 다음과 같이 패스를 그려 줍니다.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클릭하면 평행하게 찍어줄 수 있습니다.
28. 상단의 Stroke 옵션에서 컬러는 옐로우 계열로 두께는 65 px로 해 줍니다.
29. Add > Repeater를 추가합니다.
30. Repeater 1 옵션에서 Copies는 20으로 복사해 줍니다. Transform : Repeater 1에서 Position은 0, 160을 입력해 복사된 Shape들의 거리를 Y축으로 늘려 줍니다.
31. Layer의 Position에 키프레임을 찍고 250,0을 입력하고, 5초 후에 250, -2000을 입력하여 라인이 위로 애니메이션되게 키를 잡아 줍니다.
3개의 Texture가 모두 완성이 되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완성된 Texture를 가지고 Element 3D에서 맵핑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