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Element 3D 이펙트 Texturing (2)

motionlab
조회수 5533


01. 단축키 Ctrl + N을 눌러 새 컴프를 다음과 같이 셋팅합니다.



02. Element 3D를 적용할 솔리드를 생성합니다. 단축키 Ctrl + Y를 눌러 아래와 같이 셋팅 후에 솔리드를 생성합니다.



03. Effect > Video Copilot > Element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04. 마스크 패스를 익스투르드해서 모델링을 할 것입니다. 마스크 패스를 적용할 솔리드를 만듭니다. 단축키 Ctrl + Y를 눌러 아래와 같이 셋팅하고 솔리드를 생성합니다.



05. 화면 상단의 Star tool을 선택하고 더블 클릭하여 아래와 같이 솔리드 크기에 맞는 패스를 생성합니다.



06. Mask 1을 선택하고 단축키 Ctrl + D를 눌러 마스크를 복사해 줍니다.



07. 마스크 패스를 더블 클릭하여 좌측 상단 모서리를 붙잡고, Ctrl+ Shift를 누른 상태에서 사이즈를 줄여 줍니다.



08. 마스크 모드를 Subtract로 선택해 주면 아래 그림과 같이 됩니다.



09. star 레이어는 보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눈을 꺼줍니다.



10. Custom Layer > Custom Text and Mask 메뉴의 Path Layer에서 star 레이어를 골라 줍니다.



11. part1에서 작업해 놓은 texture 컴프들을 레이어 창에 내려 놓습니다.



12. 확인한 후에 texture 컴프들은 눈을 꺼 줍니다.



13. Custom Layer > Custom Texture Maps에서 Layer 1, 2, 3에 각각 Texture 1,2,3을 선택해 줍니다.



14. Element의 Scene Setup 버튼을 클릭합니다.



15. 화면 상단의 EXTRUDE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Path layer 1에서 선택해 준 star path가 두께가 생기게 됩니다.



16. 우측 Scene 메뉴에서 Bevel을 선택합니다.



17. 하단 Edit 창에서 Textures > Diffuse에서 None Set을 클릭합니다.



18. 그리고 Texture Channel에서 Custom Layer 1을 선택해 주면 Form으로 작업했던 텍스쳐가 입혀지게 됩니다.



19. 글로시하게 만들어 줄 것이기 때문에 illumination 재질을 줄 것입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illumination의 None Set를 클릭하여 Custom Layer 1을 선택해 줍니다.



20. 글로시 느낌을 더 주기 위해서 Illumination 메뉴에서 Intensity 값을 150% 입력하면 아래 그림처럼 밝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1. 이제 바닥에 비치는 리플렉션을 넣어 줄 것입니다. 화면 상단의 CREATE 버튼을 클릭하고 플랜을 클릭하여 플랜을 추가 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플랜이 추가됩니다.



22. 플랜의 사이즈를 늘려 주기 위해 화면 하단에 Scale tool을 선택합니다.


23. 마우스 커서를 화면 중앙에 가져다 대면 X, Y, Z 축이 노란색으로 채워지게 됩니다. 그리고 마우스를 드래그하여 플랜의 사이즈를 키워 줍니다.



24. 이제 플랜을 Star 아래로 맞춰 주기 위하여 하단의 Movement tool을 클릭합니다.



25. 마우스 커서를 Y축에 가져다 놓고 아래로 드래그하여 플랜의 위치를 Star 하단에 위치 시킵니다.



26. Scene 패널에서 Plane Model을 선택합니다.



27. 아래 Edit > Reflect Mode에서 Mode를 Mirror Surface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Star가 바닥에 비춰지게 됩니다.



28. 그리고 바로 하단에 Disable Environment를 체킹합니다. 그러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배경 이미지는 바닥에 비춰지지 않게 됩니다. 배경 외에 Star만 비춰지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29. Scene 패널에서 이번엔 Default 재질을 선택합니다.



30. 하단의 Edit > Basic Settings에서 Diffuse, Ambient 값을 둘 다 0으로 해 줍니다. 그러면 흰색으로 셋팅된 값을 없애줘 하단 이미지처럼 회색이 빠지고 검정색 배경에 리플렉션만 남게 됩니다.



31. 이제 Reflectivity > Intensity에서 80%를 입력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리플렉션이 진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2. 다시 Basic Settings으로 돌아가 Glossiness 값을 90%로 낮춰 주면, 아래 이미지처럼 빛이 번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3. 프리뷰 창 아래 Environment를 체킹하면, 하단 이미지처럼 배경 이미지가 눈으로 보여지게 됩니다. Shift + 마우스 좌 클릭하고 드래그해보면 배경 이미지를 돌려 줄 수 있는데, 회색 영역이 너무 넓게 퍼져서 하이라이트가 너무 넓게 퍼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4. 배경 이미지를 다른 것을 선택하도록 하겠습니다. 화면 상단의 Environment 버튼을 클릭합니다.



35. Basic_2K_03.jpg 파일명을 클릭하면, 기본적으로 설치된 환경 맵들이 보이는데, Basic_2K_08.jpg를 선택한 후에 열기를 클릭합니다.



36. 이미지 아래 마커 3개를 이미지처럼 조절하여 흰색 빛 부분만 돋보이도록 레벨을 조절합니다.



37. Shift + 마우스 좌 클릭하여 드래그해보면, 흰색 하이라이트 영역이 작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8. Extrusion Model을 선택 후, Ctrl + D를 눌러 2개 더 복사하여 총 3개로 만들어 줍니다.



39. 프리뷰 창 하단에서 Scale tool을 선택한 뒤에 프리뷰 창 중앙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 놓고 드래그해서 2번째, 3번째 Extrusion Model의 크기를 각각 줄여서 크기를 다르게 합니다.



40. 이제 각각 다른 맵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재질을 복사할 것입니다. 화면 좌측 아래 Scene Materials 패널에서 Bevel 1에 마우스 우 클릭하여 Duplicate를 클릭해 재질을 복사합니다.



41. 복사된 재질에 마우스 우 클릭하여 Rename을 클릭해 이름을 Bevel 2로 변경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Bevel 3도 복사합니다.



42. Scene 패널로 가서 Extrusion Model의 재질을 모두 열어 놓습니다.



43. 하나의 Bevel 1은 그냥 두고 나머지 재질을 선택하여 Scene Materials 패널에서 만들어 놓은 재질 Bevel 2, Bevel 3을 각각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넣어 줍니다.



44. Bevel 2 재질을 선택합니다.



45. 하단 Edit > Textures > Diffuse에서 Custom Layer 1을 클릭하고 Custom Layer 2를 선택해 줍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Illumination도 클릭하고 Custom Layer 2를 선택하면, 하단 이미지처럼 맵핑 이미지가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6. Bevel 3도 선택 후에 같은 방법으로 셋팅하면 아래 이미지처럼 3개 모두 다른 맵핑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7. 각 오브젝트들을 따로 제어할 것인데, 모두 한 그룹에 묶여 있기 때문에, Extrusion Model과 Plan Model을 모두 선택한 후에 아래로 드래그하여 그룹 바깥으로 빼줍니다.



48. Group Folder는 X 버튼을 클릭하여 없애 주고, 아래와 같이 각각의 그룹 넘버를 부여합니다. 제일 바깥 별이 1, 중간이 2, 안쪽이 3을 선택해 주고, Plan Model은 4를 선택해 주면 됩니다.



49. 이제 Scene Setting은 모두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우측 상단의 OK 버튼을 눌러 바깥으로 나갑니다.



50. Layer > New > Camera를 클릭합니다.



51. Preset에서 35mm 렌즈를 선택하고 OK를 클릭하여 카메라를 생성합니다.



52. 화면 상단에서 Unified Camera Tool을 선택하고, 아래 이미지처럼 뷰를 바꿔 줍니다. 아래와 같은 뷰가 아니어도 상관 없습니다. 원하는 카메라 뷰로 맞춰 줍니다.



53. Element 레이어를 선택하고 Group 1 > Group Utilities > Create Group Null에서 Create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Group 1을 제어하게 될 Null 오브젝트가 생성됩니다. 같은 방법으로 Group 2, Group 3도 Null을 생성해서 총 3개의 Null을 생성합니다.




54. 3개의 Null을 모두 선택한 후에 단축키 R을 눌러 로테이션 옵션을 열어 놓습니다.



55. 각각의 로테이션에 키프레임을 주겠습니다.



Y Rotation

'0' ------- 5초 후 '180'



X Rotation

'0' ------- 5초 후 '60'

Y Rotation

'0' ------- 5초 후 '-160'



Y Rotation

'0' ------- 5초 후 '-130'

Z Rotation

'0' ------- 5초 후 '-50'




56. Layer > New > Adjustment Layer을 생성합니다.



57. Effect > Trapcode > Starglow 이펙트를 적용하면 아래 그림처럼 빛나게 됩니다.



58. Colormap A에서 Preset > Electric을 선택하면 아래 이미지처럼 컬러가 변환됩니다.



이번 튜토리얼에서는 맵핑에 대해서 배워 보았습니다. 

Element 3D 이펙트는 3D를 다루지 못 하는 분들께 단비 같은 이펙트 입니다. 

하지만, Element 3D는 거의 모든 옵션들이 3D에 기초를 하고 있기 때문에, Element 3D를 잘 다루기 위해서는 일단 3D를 잘 다루어야 한다는 아이러니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간단한 작업들을 제외하고 좀더 디테일하게 공부를 하고 싶다면, 3D 공부를 먼저 해 보고 접하길 권합니다.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