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Trapcode Form Basic (1)

motionlab
조회수 5647

Trapcode社의 플러그인들은 이제 모션그래퍼들 사이에서는 거의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잘 알려져 있는 이펙트들입니다. 그 중에서 Form 이펙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워낙 기본적인 것들만 다뤄도 할 이야기들이 많아서 2회로 나눠서 연재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후에 Form 이펙트의 응용 및 활용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1. Basic

01. 컴포지션을 하나 만들고, 같은 사이즈의 솔리드 레이어를 만듭니다.



02. 솔리드 레이어에 Form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03. 좀 더 디테일하게 Form 이펙트를 알아보기 위해 Camera를 하나 만듭니다.



04. Form 이펙트를 적용하면, 기본적으로 보는 것과 같이 파티클들이 모여 만든 3장의 면이 보여집니다.



05. Base Form 옵션은 Form 이펙트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형태들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Size X 값을 높게 입력하면 X축으로 늘어납니다. 마찬가지로 Size Y 값을 높게 입력하면 Y축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06. Size Z 값을 높게 입력하면, Z축 상으로 보는 것처럼 공간이 늘어나게 됩니다. 현재는 3개의 면밖에 없기 때문에 이렇게 보이지만, 만약에 Particles in Z 값을 3이 아닌 20 정도로 입력하면 20개로 면이 더 늘어납니다. 그런 다음에 Size Z 값을 높게 입력하면, 여러 개의 면들이 Z축 공간으로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07. Particles in X, Y, Z는 파티클들이 모여서 만든 면의 개수입니다. 만약, 이것을 각각 30으로 입력하면, 보는 것처럼 정육면체처럼 보이는 오브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현재 Base Form이 Box - Grid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



08. 이제 Base Form을 Box - Strings로 바꿔보겠습니다. Box - Strings는 가로 라인으로 만들어 줍니다. Box - Strings을 선택하면, 하단 부분에 String Settings 옵션을 사용할 수 있게 활성화됩니다.



09. Density 값을 높이면, 파티클들이 촘촘하게 구성되어 더 라인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단에 있는 Taper를 Off에서 Smooth, Linear로 바꾸면, 라인의 끝부분이 얇고 중간 부분이 두꺼운 라인 모양을 볼 수 있습니다.




2. Particle

01. Base Form 밑에 있는 Particle은 Form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인 파티클의 모양 및 개수 등을 선택하고 조절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Particles in Z 값을 1로 하여 보기 쉽게 하나의 면만 보이게 만듭니다. 그런 다음, 그림에서처럼 Base Form의 수치 값들을 입력합니다. Particle Type은 Sphere로 설정한 상태입니다.



02. Particle Type을 Glow Sphere(No DOF)로 바꾸면, Glow가 적용된 Sphere가 보여집니다.



03. Star, Cloudlet, Box 등을 순서대로 선택해보기 바랍니다. 그 외에 Sprite나 Texture 옵션 등은 차후에 설명 드리겠습니다.

상단 왼쪽부터 Particle Type - Star, Cloudlet, Box



04. Particle Type을 Star로 선택하고 옵션을 조절해보겠습니다. Particle Size를 1로 설정하여 아주 작게 만듭니다.



05. Base Form을 Sphere - Layered로 설정합니다. 그러면 마치 지구본처럼 별들로 이루어진 입체적인 구가 만들어집니다.



06. Base Form의 Size Z 값을 크게 하면, Sphere의 별들이 공간감 있게 펼쳐질 것입니다. 밤하늘에 떠 있는 별들을 만들어 볼 생각입니다. 좀 더 많은 별을 원한다면, Particles in X, Y 값을 높이면 됩니다.



07. 이제 별들을 좀 더 자연스럽게 배치해보겠습니다. Disperse and Twists 값을 조절하면 됩니다. Disperse는 확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500 정도로 입력하면, 그림처럼 밤하늘의 별들이 흩어져 있는 것처럼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08. 이번에는 안개 같은 효과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이번에는 Size X로 값을 높인 다음, Particle Type을 Cloudlet로 입력합니다.



09. Particle의 Size와 Size Random, Opacity, Opacity Random 값을 그림처럼 입력해 줍니다. Color도 Blue로 바꿔줍니다.



10. Form 이펙트를 적용한 솔리드 레이어를 다른 레이어와 합성을 하려면, Set Matte 이펙트를 적용시키면 됩니다.



11. 타이포 레이어를 컴포지션에 추가해보면, 투명도가 있는 안개처럼 Form 이펙트가 보여집니다.





3. Quick Maps

01. 이번에는 Quick Map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Form이펙트를 적용한 다음, Particles in Z 값을 1로 입력합니다.



02. Quick Maps를 Size와 Map #1 over 값을 X로 설정하면, X축으로 사이즈 값의 변화 때문에 그림처럼 마치 그라데이션이 된 것처럼 보여집니다.



03. Y축이나 Z축, Radial로 설정하면 그림처럼 보여집니다.



04. 이번에는 Audio React 1로 설정하여 사운드로 연동해보겠습니다.



05. Map #1을 Audio React로 설정한 다음에 이펙트의 밑부분을 보면, Audio React에서 Audio Layer에서 사운드를 설정해주면 됩니다. 물론, 사운드 파일은 타임라인 상에 미리 준비해 둬야 합니다.



06. 현재 Map #1 Over를 radial로 설정했기 때문에, 그림처럼 중앙에서 원형으로 파장이 일어나는 듯한 효과가 보여집니다.



07. 이번에는 Quick Maps의 첫 부분에 나오는 Opacity Map과 Color Map을 알아보겠습니다. 컬러의 적용을 확실히 보기 위해서 Particles in X, Y 값을 각각 500, 300으로 입력하여 파티클들을 촘촘하게 만들어 줍니다.



08. Color Map을 보면, 상단에 작은 부분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Opacity Map의 썸네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상단의 Opacity Map을 조절하면, 여기에 그 효과가 심플하게 표시가 됩니다. Map Opac+Color over를 X축으로 선택하면, 현재 컬러 그라데이션으로 만든 것이 그대로 보여집니다.



09. Map Opac+Color over를 Y축으로 설정하면, 세로로 그라데이션이 보여집니다.



10. Map Opac+Color over를 Z축으로 설정하기 위해 Particles in Z 값을 4로 입력하여 4장으로 만듭니다. 그런 다음에 확인해 보면, 맨 앞에서부터 Z축 뒤로 컬러 그라데이션이 적용됩니다.



11. Map Opac+Color over 값을 radial로 선택하면, 그림처럼 중앙에서 퍼지는 식으로 보여집니다.



12. 이제 하단에 있는 Fractal Field 값을 조절해보겠습니다. Displace 값을 높여주면, Form을 이루는 파티클 값들이 보는 것처럼 휘어지면서 확산됩니다.




13. 컬러 값을 만들어서 Opacity Map과 함께 적용시켜 원하는 스타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Opacity Map을 조절함에 따라서 외곽부분에 보여지는 Particles들을 사라지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14. Particles in X, Y 값을 높여주면, 좀 더 입자들이 촘촘해져서 입체적인 느낌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이번 호에는 Form 이펙트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옵션들을 하나하나 알아봤습니다. 물론, 아직 설명 드리지 못한 부분들이 많습니다. 다음 달에 계속해서 이어나가겠습니다.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