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ter Effects가 생긴지 벌써 23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습니다. 오랜 세월이 지났음에도 Time Effects, 즉 시간과 관련이 있는 이펙트들은 여전히 존재하며, 앞으로도 존재할 것입니다. 영상이라는 것 자체가 시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냥 지나칠 수도 있지만, 반드시 한 두 번쯤은 사용하게 될 Time Effects들을 자주 사용하는 것들 위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Time Stretch
01. After Effects를 사용하는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기능 중 하나인 Time Stretch는 Layer > Time > Time Stretch에 있습니다. 일단, 어떤 동영상이든지 하나 불러들입니다. 만약, 동영상이 없다면 www.gettyimageskorea.com에 들어가서 저해상도(시안용)로 원하는 영상을 받으면 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4f97e19740e49.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edf35d38d43ab.png)
02. Time Stretch는 말 그대로 레이어가 가진 시간을 Layer Bar를 늘려서 길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Time Stretch를 실행하면 대화창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Stretch Factor 값을 200으로 설정하면, 해당 레이어가 가진 Duration도 10초에서 20초로 2배가 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7410c10c34bb7.png)
03. Hold in Place는 레이어가 어떤 식으로 늘어날지를 정하는 옵션입니다. Layer In-point는 무조건 레이어 바의 In 포인트를 기준으로 해서 시간이 늘어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옵션입니다. Current Frame은 현재 타임 마커가 위치해 있는 지점에서부터 앞뒤로 레이어 바가 늘어납니다. Layer Out-point는 레이어 바가 끝나는 Out 포인트를 기준으로 시간이 늘어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7ad8ccde89db3.png)
04. 사실 Hold in Place의 어떤 옵션으로 레이어 바가 늘어나도 영상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습니다. 다만, 어떤 스타일로 늘어날지에 대한 옵션입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f626f3839281d.png)
05. 타임라인 윈도우의 하단을 보면 총 3개의 아이콘이 있습니다. 3번째 아이콘이 바로 Expand or Collapse the in/Out/Duration/Stretch Panels 버튼입니다. 클릭하면 In, Out, Duration, Stretch가 타임라인에 보입니다. 여기 있는 Stretch부분에 수치값으로 입력해도 됩니다(일반적으로 Stretch를 할 때 이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 당연히 Duration이 늘어나면 영상의 재생 속도는 느려집니다. 바로 슬로우 모션을 강제적으로 만들 때 사용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80a864837ba6a.png)
2. Frame Blending
01. Time Stretch 기능과 함께 타임라인에서 지원하는 기능으로 Frame Blending이 있습니다. Frame Blending은 총 3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기본값은 Off로 적용이 안된 상태를 말하며, Fame Mix는 전 프레임의 잔상을 보여주고, Pixel Motion은 마치 Motion Blur 효과처럼 좀 더 자연스러운 모션을 보여줍니다. Layer > Frame Blending에서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ed49db2128a0f.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b7b0eb8f4a629.png)
Frame Blending이 Off인 상태
02. 물론, 타임라인상에서 곧바로 아이콘을 클릭해 적용해도 됩니다. 레이어 옆에 있는 아이콘들 중에 영화 필름 모양으로 생긴 아이콘이 바로 Frame Blending입니다. 체크 박스에 아무것도 없으면 Off입니다. 체크 박스를 한번 클릭하면 점선 모양의 라인이 생기는데, 이것이 Frame Mix입니다. 이 상태에서 한번 더 클릭을 하면 라인으로 보여지고, 이것이 Pixel Motion입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a6e5bfe9ceb44.png)
03. 하지만, Frame Blending 기능을 사용하려면 타임라인 윈도우의 상단에 있는 Enables Frame Blending 아이콘을 반드시 클릭해야만 합니다(그러면 여러 개의 레이어들 중에서 Frame Blending이 체크된 레이어들만 효과가 적용됩니다). 특히, CC버전부터는 Pixel Motion의 디테일이 더 강화되어 좀 더 자연스러운 Frame Blending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6baad8377e6ef.jpeg)
3. Time Remapping
01. Time Remapping은 시간을 마음대로 재배치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으로, 시간을 빠르게도 느리게도 만들어 줍니다. 영상에 Enable Time Remapping을 적용시킵니다. 단축키는 Ctrl + Alt + T입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550719a0978f8.png)
02. Enable Time Remapping을 레이어에 적용하자마자 자동적으로 키프레임이 만들어 집니다. 현재 상태에서는 타임마커를 드래그해도 아무런 효과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키프레임이 레이어 바의 In, Out 포인트에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7a7c681d86f38.png)
03. 키프레임이 자동으로 레이어 바의 처음과 끝부분에 생겨나는 것을 보고, 눈치챈 분들도 있을 겁니다. Enable Time Remapping은 키프레임으로 영상의 속도 조절을 가능케 합니다. 타임 마커를 움직여서 본인이 영상 속도를 줄이거나 늘리고자 하는 부분에 키프레임을 생성합니다. 현재 뒷부분에 표시된 2개의 키프레임은 이 남자가 걸어서 화면 밖으로 나가는 부분입니다. 아마도 그 시간이 2초를 약간 넘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75bbe2fd4143f.png)
04. 2개의 키 프레임을 이제 옮겨보겠습니다. 2개의 키 프레임을 선택하고, 그림에서처럼 앞쪽으로 이동시킵니다. 그럼 어떻게 될까요? 남자가 걸어서 나가는 Duration이 5.5초 정도로 늘어났습니다. 시간이 늘어났다는 이야기는 바로 슬로우 모션처럼 천천히 재생이 된다는 뜻입니다. 그럼 다른 부분의 영상 재생 속도는 어떻게 변할까요? 앞서 움직인 2개의 키프레임 안에서의 영상은 속도 변화가 없지만, 상대적으로 간격이 좁혀진 부분의 영상 속도는 빨라집니다. 글로 이런 부분을 설명 드리기가 어렵긴 합니다. 실제로 영상을 하나 불러들여서 간단하게 테스트를 한번씩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810e1c9538960.png)
4. CC Wide Time
01. Effects > Time > CC Wide Time 이펙트는 Frame Blending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옵니다. 다른 점은 이펙트이기 때문에 몇 개의 옵션이 더 있어서 좀 더 디테일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62899c8b92a01.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d539d81bb7bd1.png)
02. CC Wide Time에는 Forward Steps과 Backward Steps 옵션이 있습니다. 현재 프레임에서 앞 프레임과 뒷 프레임들의 몇 개씩 보여질지를 결정하는 옵션입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be068c9a8c11c.png)
03. Forward Steps을 2로 설정하면, 현재 보여지는 영상 프레임 + 앞으로 보여줄 영상 2프레임을 보여줍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5099922133dc2.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da0aa8b2bfa35.png)
04. Forward Steps과 Backward Steps을 각각 2로 입력합니다. 영상 프레임의 앞과 뒤에 있는 프레임들이 한꺼번에 겹쳐져서 보여집니다. 값을 올려서도 입력하여 변화되는 것들을 확인해보기 바랍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78fb649a7fe65.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9a1063eb71202.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0b1b3f2868c3b.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d72021d19f7a6.png)
05. 레이어를 하나 더 복제합니다. 상단에 있는 레이어는 CC Wide Time 이펙트를 없애고, Mode를 Soft Light로 설정하면 좀 더 다이나믹한 결과물을 볼 수 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fff02d79ada16.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673cfcefeb60c.jpeg)
5. Posterize Time + CC Wide Time + CC Composite
01. 이번에는 여러 가지 이펙트를 한꺼번에 적용시켜보겠습니다. 댄서가 춤을 추는 영상을 하나 불러들였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e9d1b84adc06a.png)
02. Posterize Time 이펙트를 먼저 적용합니다. Posterize Time 이펙트는 영상이 가지고 있는 프레임을 원하는 프레임으로 만들어 줍니다. 예를 들어, 30프레임인 영상을 10프레임이나 5프레임의 영상으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에 CC Wide Time을 적용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2c6e6e5e2befb.png)
03. Posterize Time 이펙트의 Frame Rate 값을 2, CC Wide Time의 Forward Steps 값을 1, Backward Steps 값을 30으로 입력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d8686b039f098.png)
04. 원래 영상이 가지고 있는 프레임 수를 줄인 다음에 영상의 프레임을 잔상처럼 보여지도록 한 것입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화면이 흐릿하게 보입니다. 그래서 CC Composite 이펙트를 추가로 적용합니다. CC Composite 이펙트는 마치 Pre-Comp를 만든 것처럼 레이어를 복제하지 않고, 레이어가 하나 더 추가되는 듯한 효과를 냅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03ad14564b9f3.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a47ee06810ae6.png)
05. CC Composite Original을 Multiply로 설정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db7a186b67a18.png)
06. 오리지널 댄서의 이미지가 좀 더 명확하게 보이게 되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39701e4cc65c5.png)
07. CC Composite Original의 팝업 메뉴는 Mode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 설정을 바꿔 적당한 효과를 찾아보기 바랍니다. 예상치 못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de8351f2f9ff3.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aa84a2015273a.png)
6. Time Displacement
01. Time Displacement는 Displacement Effects와 비슷한 효과를 냅니다. 먼저, 컴포지션을 하나 만들고, 이름을 displacement Source라고 입력합니다. 이 컴프는 나중에 Time Displacement 이펙트의 소스로 사용될 것입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4ef6b8dec70bc.png)
02. 솔리드 레이어를 하나 만든 다음에 Fractal Noise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ad2b4a1fe647e.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f7d180aff15b7.png)
03. Fractal Noise 이펙트의 옵션값들을 조절하여 그림처럼 타일 느낌의 이미지로 만듭니다. Fractal Type을 Basic, Noise Type을 Block, Contrast를 100, Scale 215, Complexity를 1로 설정하면 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5755e9886ca89.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7222fd4f087db.png)
04. 앞서 만든 소스 컴포지션과 적용하고자 하는 영상을 새로운 컴포지션의 타임라인에 배치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effba552b46f5.png)
05. 그런 다음 영상에 Effects > Time > Time Displacement를 적용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cf778ae373516.png)
06. Time Displacement를 영상에 적용하면 기본값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아래 그림처럼 바뀌게 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f22c387cf6e58.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a1456d249c267.png)
07. 이제 이펙트 컨트롤 창에서 Time Displacement Layer를 앞서 만든 displacement Source 컴프로 지정합니다. 그런 다음, Max Displacement Time을 2로 입력하고, Time Resolution을 60으로 입력합니다. 현재는 Time Displacement Layer, 즉 소스의 사이즈가 적용하고자 하는 영상과 같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작업을 하다 보면 소스의 사이즈가 작거나 클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Stretch Map to Fit를 체크하면 무조건 적용하려는 영상의 사이즈와 같게 자동으로 맞춰줍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0c78ac1da95d6.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eb1be7757b3dc.png)
08. Max Displacement Time과 Time Resolution 값을 조절하여 그 결과를 비교해 보기 바랍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a625dcc002193.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b90aad7364ac9.png)
09. 앞서 제작한 displacement Source 컴포지션을 엽니다. Fractal Noise 이펙트에 Level 이펙트를 추가합니다. Level 이펙트로 Fractal Noise로 만든 효과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를 좀 더 극대화시켜 줍니다. 그런 다음에 Gaussian Blur 효과를 주어 경계면들을 부드럽게 만들어 줍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f063ed3ca0983.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930af4e029f2d.png)
10. 결과물을 보면, Time Displacement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에 대해서 알게 될 것입니다. 만약, Displacement Source 컴포지션을 애니메이션 시킨다면 더 재미있는 결과물을 얻게 될 것입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3aa28f6868e2d.png)
7. Time Effects 응용
01. 영상 또는 이미지를 하나 고릅니다. 이번에는 Time Effect들을 이용하여 트랜지션 또는 Glitch스러운 효과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92ee2bc02c9dd.png)
02. 새로운 컴포지션을 하나 만들어서 솔리드 레이어를 만듭니다. 솔리드 레이어에 Ramp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17122b6393e8c.png)
03. Ramp 이펙트의 Start of Ramp와 End of Ramp의 위치를 그림처럼 수평으로 배치시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661de32ceef2e.png)
04. 1초 정도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Start of Ramp와 End of Ramp의 위치가 1초 뒤에 왼쪽으로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을 만듭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1440f937c615f.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2e2680ababb3c.png)
05. 여기에 Posterize 이펙트를 추가해줍니다. Level 값을 5로 입력하면, 글라데이션된 이미지를 마치 Vector처럼 바꾸어 줄 수 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4c1b117dd3e2e.png)
06. 애니메이션을 확인해 보면, 앞서 Start of Ramp와 End of Ramp가 애니메이션되었기 때문에, 보는 것처럼 애니메이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에는 전체가 화이트가 되도록 애니메이션을 만들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28e9cbb76120a.jpeg)
07. 방금 만든 애니메이션이 있는 컴프가 008-preComp입니다. 이제 적용할 영상과 함께 새로운 컴포지션에 넣습니다. 적용할 레이어를 선택하고, Time Displacement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여기에서 Time Displacement Layer를 008-preComp로 지정합니다. 그림에서처럼 수치값을 입력합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3764cc314acf1.png)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8d5b75bf86aad.png)
08. 애니메이션을 확인해보면 마치 Displacement Map의 효과처럼 보여지면서 애니메이션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cdn.imweb.me/upload/S20220723f87c6ce10bb51/a961f46e41ed5.jpeg)
영상을 다루는 소프트웨어에서 시간에 관련된 부분은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많이 사용되고 있진 않습니다. 장비가 발달함에 따라 스마트폰으로도 퀄리티 있는 슬로우 모션을 찍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에, 굳이 소프트웨어적으로 후반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본적인 알고리즘을 이해하면, 차후에 편집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After Effects가 생긴지 벌써 23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습니다. 오랜 세월이 지났음에도 Time Effects, 즉 시간과 관련이 있는 이펙트들은 여전히 존재하며, 앞으로도 존재할 것입니다. 영상이라는 것 자체가 시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냥 지나칠 수도 있지만, 반드시 한 두 번쯤은 사용하게 될 Time Effects들을 자주 사용하는 것들 위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Time Stretch
01. After Effects를 사용하는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기능 중 하나인 Time Stretch는 Layer > Time > Time Stretch에 있습니다. 일단, 어떤 동영상이든지 하나 불러들입니다. 만약, 동영상이 없다면 www.gettyimageskorea.com에 들어가서 저해상도(시안용)로 원하는 영상을 받으면 됩니다.
02. Time Stretch는 말 그대로 레이어가 가진 시간을 Layer Bar를 늘려서 길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Time Stretch를 실행하면 대화창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Stretch Factor 값을 200으로 설정하면, 해당 레이어가 가진 Duration도 10초에서 20초로 2배가 됩니다.
03. Hold in Place는 레이어가 어떤 식으로 늘어날지를 정하는 옵션입니다. Layer In-point는 무조건 레이어 바의 In 포인트를 기준으로 해서 시간이 늘어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옵션입니다. Current Frame은 현재 타임 마커가 위치해 있는 지점에서부터 앞뒤로 레이어 바가 늘어납니다. Layer Out-point는 레이어 바가 끝나는 Out 포인트를 기준으로 시간이 늘어납니다.
04. 사실 Hold in Place의 어떤 옵션으로 레이어 바가 늘어나도 영상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습니다. 다만, 어떤 스타일로 늘어날지에 대한 옵션입니다.
05. 타임라인 윈도우의 하단을 보면 총 3개의 아이콘이 있습니다. 3번째 아이콘이 바로 Expand or Collapse the in/Out/Duration/Stretch Panels 버튼입니다. 클릭하면 In, Out, Duration, Stretch가 타임라인에 보입니다. 여기 있는 Stretch부분에 수치값으로 입력해도 됩니다(일반적으로 Stretch를 할 때 이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 당연히 Duration이 늘어나면 영상의 재생 속도는 느려집니다. 바로 슬로우 모션을 강제적으로 만들 때 사용합니다.
2. Frame Blending
01. Time Stretch 기능과 함께 타임라인에서 지원하는 기능으로 Frame Blending이 있습니다. Frame Blending은 총 3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기본값은 Off로 적용이 안된 상태를 말하며, Fame Mix는 전 프레임의 잔상을 보여주고, Pixel Motion은 마치 Motion Blur 효과처럼 좀 더 자연스러운 모션을 보여줍니다. Layer > Frame Blending에서 원하는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Frame Blending이 Off인 상태
02. 물론, 타임라인상에서 곧바로 아이콘을 클릭해 적용해도 됩니다. 레이어 옆에 있는 아이콘들 중에 영화 필름 모양으로 생긴 아이콘이 바로 Frame Blending입니다. 체크 박스에 아무것도 없으면 Off입니다. 체크 박스를 한번 클릭하면 점선 모양의 라인이 생기는데, 이것이 Frame Mix입니다. 이 상태에서 한번 더 클릭을 하면 라인으로 보여지고, 이것이 Pixel Motion입니다.
03. 하지만, Frame Blending 기능을 사용하려면 타임라인 윈도우의 상단에 있는 Enables Frame Blending 아이콘을 반드시 클릭해야만 합니다(그러면 여러 개의 레이어들 중에서 Frame Blending이 체크된 레이어들만 효과가 적용됩니다). 특히, CC버전부터는 Pixel Motion의 디테일이 더 강화되어 좀 더 자연스러운 Frame Blending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3. Time Remapping
01. Time Remapping은 시간을 마음대로 재배치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으로, 시간을 빠르게도 느리게도 만들어 줍니다. 영상에 Enable Time Remapping을 적용시킵니다. 단축키는 Ctrl + Alt + T입니다.
02. Enable Time Remapping을 레이어에 적용하자마자 자동적으로 키프레임이 만들어 집니다. 현재 상태에서는 타임마커를 드래그해도 아무런 효과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키프레임이 레이어 바의 In, Out 포인트에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03. 키프레임이 자동으로 레이어 바의 처음과 끝부분에 생겨나는 것을 보고, 눈치챈 분들도 있을 겁니다. Enable Time Remapping은 키프레임으로 영상의 속도 조절을 가능케 합니다. 타임 마커를 움직여서 본인이 영상 속도를 줄이거나 늘리고자 하는 부분에 키프레임을 생성합니다. 현재 뒷부분에 표시된 2개의 키프레임은 이 남자가 걸어서 화면 밖으로 나가는 부분입니다. 아마도 그 시간이 2초를 약간 넘습니다.
04. 2개의 키 프레임을 이제 옮겨보겠습니다. 2개의 키 프레임을 선택하고, 그림에서처럼 앞쪽으로 이동시킵니다. 그럼 어떻게 될까요? 남자가 걸어서 나가는 Duration이 5.5초 정도로 늘어났습니다. 시간이 늘어났다는 이야기는 바로 슬로우 모션처럼 천천히 재생이 된다는 뜻입니다. 그럼 다른 부분의 영상 재생 속도는 어떻게 변할까요? 앞서 움직인 2개의 키프레임 안에서의 영상은 속도 변화가 없지만, 상대적으로 간격이 좁혀진 부분의 영상 속도는 빨라집니다. 글로 이런 부분을 설명 드리기가 어렵긴 합니다. 실제로 영상을 하나 불러들여서 간단하게 테스트를 한번씩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4. CC Wide Time
01. Effects > Time > CC Wide Time 이펙트는 Frame Blending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옵니다. 다른 점은 이펙트이기 때문에 몇 개의 옵션이 더 있어서 좀 더 디테일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02. CC Wide Time에는 Forward Steps과 Backward Steps 옵션이 있습니다. 현재 프레임에서 앞 프레임과 뒷 프레임들의 몇 개씩 보여질지를 결정하는 옵션입니다.
03. Forward Steps을 2로 설정하면, 현재 보여지는 영상 프레임 + 앞으로 보여줄 영상 2프레임을 보여줍니다.
04. Forward Steps과 Backward Steps을 각각 2로 입력합니다. 영상 프레임의 앞과 뒤에 있는 프레임들이 한꺼번에 겹쳐져서 보여집니다. 값을 올려서도 입력하여 변화되는 것들을 확인해보기 바랍니다.
05. 레이어를 하나 더 복제합니다. 상단에 있는 레이어는 CC Wide Time 이펙트를 없애고, Mode를 Soft Light로 설정하면 좀 더 다이나믹한 결과물을 볼 수 있습니다.
5. Posterize Time + CC Wide Time + CC Composite
01. 이번에는 여러 가지 이펙트를 한꺼번에 적용시켜보겠습니다. 댄서가 춤을 추는 영상을 하나 불러들였습니다.
02. Posterize Time 이펙트를 먼저 적용합니다. Posterize Time 이펙트는 영상이 가지고 있는 프레임을 원하는 프레임으로 만들어 줍니다. 예를 들어, 30프레임인 영상을 10프레임이나 5프레임의 영상으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에 CC Wide Time을 적용합니다.
03. Posterize Time 이펙트의 Frame Rate 값을 2, CC Wide Time의 Forward Steps 값을 1, Backward Steps 값을 30으로 입력합니다.
04. 원래 영상이 가지고 있는 프레임 수를 줄인 다음에 영상의 프레임을 잔상처럼 보여지도록 한 것입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화면이 흐릿하게 보입니다. 그래서 CC Composite 이펙트를 추가로 적용합니다. CC Composite 이펙트는 마치 Pre-Comp를 만든 것처럼 레이어를 복제하지 않고, 레이어가 하나 더 추가되는 듯한 효과를 냅니다.
05. CC Composite Original을 Multiply로 설정합니다.
06. 오리지널 댄서의 이미지가 좀 더 명확하게 보이게 되었습니다.
07. CC Composite Original의 팝업 메뉴는 Mode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 설정을 바꿔 적당한 효과를 찾아보기 바랍니다. 예상치 못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6. Time Displacement
01. Time Displacement는 Displacement Effects와 비슷한 효과를 냅니다. 먼저, 컴포지션을 하나 만들고, 이름을 displacement Source라고 입력합니다. 이 컴프는 나중에 Time Displacement 이펙트의 소스로 사용될 것입니다.
02. 솔리드 레이어를 하나 만든 다음에 Fractal Noise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03. Fractal Noise 이펙트의 옵션값들을 조절하여 그림처럼 타일 느낌의 이미지로 만듭니다. Fractal Type을 Basic, Noise Type을 Block, Contrast를 100, Scale 215, Complexity를 1로 설정하면 됩니다.
04. 앞서 만든 소스 컴포지션과 적용하고자 하는 영상을 새로운 컴포지션의 타임라인에 배치합니다.
05. 그런 다음 영상에 Effects > Time > Time Displacement를 적용합니다.
06. Time Displacement를 영상에 적용하면 기본값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아래 그림처럼 바뀌게 됩니다.
07. 이제 이펙트 컨트롤 창에서 Time Displacement Layer를 앞서 만든 displacement Source 컴프로 지정합니다. 그런 다음, Max Displacement Time을 2로 입력하고, Time Resolution을 60으로 입력합니다. 현재는 Time Displacement Layer, 즉 소스의 사이즈가 적용하고자 하는 영상과 같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작업을 하다 보면 소스의 사이즈가 작거나 클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Stretch Map to Fit를 체크하면 무조건 적용하려는 영상의 사이즈와 같게 자동으로 맞춰줍니다.
08. Max Displacement Time과 Time Resolution 값을 조절하여 그 결과를 비교해 보기 바랍니다.
09. 앞서 제작한 displacement Source 컴포지션을 엽니다. Fractal Noise 이펙트에 Level 이펙트를 추가합니다. Level 이펙트로 Fractal Noise로 만든 효과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를 좀 더 극대화시켜 줍니다. 그런 다음에 Gaussian Blur 효과를 주어 경계면들을 부드럽게 만들어 줍니다.
10. 결과물을 보면, Time Displacement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에 대해서 알게 될 것입니다. 만약, Displacement Source 컴포지션을 애니메이션 시킨다면 더 재미있는 결과물을 얻게 될 것입니다.
7. Time Effects 응용
01. 영상 또는 이미지를 하나 고릅니다. 이번에는 Time Effect들을 이용하여 트랜지션 또는 Glitch스러운 효과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02. 새로운 컴포지션을 하나 만들어서 솔리드 레이어를 만듭니다. 솔리드 레이어에 Ramp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03. Ramp 이펙트의 Start of Ramp와 End of Ramp의 위치를 그림처럼 수평으로 배치시킵니다.
04. 1초 정도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Start of Ramp와 End of Ramp의 위치가 1초 뒤에 왼쪽으로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을 만듭니다.
05. 여기에 Posterize 이펙트를 추가해줍니다. Level 값을 5로 입력하면, 글라데이션된 이미지를 마치 Vector처럼 바꾸어 줄 수 있습니다.
06. 애니메이션을 확인해 보면, 앞서 Start of Ramp와 End of Ramp가 애니메이션되었기 때문에, 보는 것처럼 애니메이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에는 전체가 화이트가 되도록 애니메이션을 만들었습니다.
07. 방금 만든 애니메이션이 있는 컴프가 008-preComp입니다. 이제 적용할 영상과 함께 새로운 컴포지션에 넣습니다. 적용할 레이어를 선택하고, Time Displacement 이펙트를 적용합니다. 여기에서 Time Displacement Layer를 008-preComp로 지정합니다. 그림에서처럼 수치값을 입력합니다.
08. 애니메이션을 확인해보면 마치 Displacement Map의 효과처럼 보여지면서 애니메이션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상을 다루는 소프트웨어에서 시간에 관련된 부분은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많이 사용되고 있진 않습니다. 장비가 발달함에 따라 스마트폰으로도 퀄리티 있는 슬로우 모션을 찍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에, 굳이 소프트웨어적으로 후반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본적인 알고리즘을 이해하면, 차후에 편집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