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ter Effects Nebulosity Plugin Tutorlal
성운, 구름, 은하, 연기등을 볼륨메트릭으로 생성할 수 있는 AE 플러그인입니다. GPU 가속이 되어서 속도가 어느 정도 나오는 유용한 플러그인입니다. 다운받으실 수 있는 AE버전은 CC 2023 버전입니다. - ▶ Plugin Info : https://aescripts.com/nebulosity/ ▶ Download Projects : https://bit.ly/3OxBHaI - 영상에서 못다한 몇가지 이야기는 튜토리얼로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More Tutorial : https://bit.ly/3GU5iZS
After Effects Nebulosity Plugin Tutorlal성운, 구름, 은하, 연기등을 볼륨메트릭으로 생성할 수 있는 AE 플러그인입니다. GPU 가속이 되어서 속도가 어느 정도 나오는 유용한 플러그인입니다. 다운받으실 수 있는 AE버전은 CC 2023 버전입니다. - ▶ Plugin Info : https://aescripts.com/nebulosity/ ▶ Download Projects : https://bit.ly/3OxBHaI - 영상에서 못다한 몇가지 이야기는 튜토리얼로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More Tutorial : https://bit.ly/3GU5iZS
Shape Layer :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1
Shape Layer :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1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2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2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3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3
Procreate에서 PSD 아웃풋할때 생기는 AE 오류 해결방법
Procreate에서 PSD 아웃풋할때 생기는 AE 오류 해결방법
NVIDIA CANVAS 프리뷰
NVIDIA CANVAS 프리뷰
Create_Of_Martian 조재현
Create_Of_Martian 조재현
Dojo Shifter Script Tutorial
Dojo Shifter Script Tutorial
Pose2Pose Script
Pose2Pose Script
The Best Tutorials for our FREE Nebula Assets
The Best Tutorials for our FREE Nebula Assets
Matte를 이용한 타이포 애니메이션
Matte를 이용한 타이포 애니메이션
Shape Layer의 Repeater와 Wiggle Transform 활용_파티클 만들기
Shape Layer의 Repeater와 Wiggle Transform 활용_파티클 만들기
Trapcode Particular 01
Trapcode Particular 01
Trapcode Particular 02
Trapcode Particular 02
Text로 화살표 애니메이션 만들기
Text로 화살표 애니메이션 만들기
방사형 Shape Layer 제작시 오류수정
방사형 Shape Layer 제작시 오류수정
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
【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입니다.
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입니다.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을 하나 올려봅니다.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을 하나 올려봅니다.
지난 호에 이어, 이번에도 After Effects 작업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최신 익스프레션을 하나 소개하겠습니다. 바로 Autosway라는 익스프레션입니다. 일본에서 만들어진 익스프레션으로, 사실 나온 지는 꽤 오래된 익스프레션입니다. 올해 Aescript에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쉽게 말씀 드려서 Autosway는 Puppet Pin Tool을 이용하여 익스프레션으로 좀 더 편하고 자연스러운 모션을 줄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기본적인 메뉴들의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다음 시간에는 Autosway를 사용하여 실제 이미지나 캐릭터에 적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INSTALL
01. 현재 http://aescripts.com/autosway/에서 39.99달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이 정도 금액이면 시리얼 번호를 입력해야 된다는 것을 기본적으로 알아두기 바랍니다.
02. Adobe > Adobe After Effects CS6 > Support Files > Scripts > ScriptUI Panels 안에 드래그하여 넣어둡니다. 거의 웬만한 스크립트들은 여기에 넣어두면 됩니다.
03. 가격이 대충 20달러를 넘지 않는 스크립트들은 시리얼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가격이 좀 비싼(?) 스크립트들이 시리얼을 요구합니다. 시리얼이 없어도 15일 정도는 사용할 수 있으니, 테스트 해보기 바랍니다.
2. Autosway 적용하기
01.After Effects의 메뉴 중에서 Window를 선택하면, 하단에서 Autosway 스크립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실행을 하면 그림처럼 생각보다 간단한(?) 메뉴들이 나옵니다.
02. 일단, 스크립트를 적용하기 전에 Autosway는 2가지 스타일이 있습니다. 바로 Puppet Pin Tool을 사용하는 Mode와 Layer를 불러들여서 사용하는 Layer Mode가 있습니다. PuppetPinTool Mode와 Layer Mode 옆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해 봅니다.
03. 간단하게 PuppetPinTool Mode의 사용법에 대해서 나옵니다. 일단, Puppet Pin Tool을 사용하여 Sway 시키고자 하는 레이어에 클릭하여 위치를 정하고, Apply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Sway의 뜻은 '흔들다', '움직이다'라는 의미).
04. Layer Mode는 PuppetPinTool Mode와는 다르게 하나의 레이어가 아닌 여러 개의 레이어를 링크로 연결되어져 움직이는 Mode입니다. 2D와 3D로 Sway를 시킬 수 있습니다.
05. 이제 autosway test라는 컴포지션을 하나 새로 생성합니다.
06. Shape 레이어 툴로 직사각형 모양의 레이어를 하나 만듭니다. 그런 다음에 Puppet Pin Tool로 그림에서 흰색으로 표시된 부분을 클릭합니다.
07. 그런 다음에 PuppetPinTool Mode에 있는 Apply 버튼을 클릭합니다.
08. 타임라인을 확인하면, 총 4개의 Ppin이라는 레이어가 새롭게 생성되었습니다. 레이어의 이름이 같아서 혼란스럽기 때문에 Layer Name 부분을 클릭하면 원래 레이어의 이름이 나오도록 바꿀 수 있습니다. 클릭해 봅니다. 그러면 보는 것처럼 각 레이어의 이름이 나옵니다. 맨 위에 있는 [SwayControl1]_Shape Layer 1이 밑에 있는 3개의 Shape Layer를 컨트롤하는 레이어입니다. 각 레이어의 Parent 부분을 확인해 보면 각 레이어들은 상위 레이어에 Parent가 되어 있습니다.
09. 이제 새롭게 생성된 레이어들을 모두 선택합니다.
10. 선택한 다음에 컴포지션 윈도우 창을 확인해보면, 앞서 PuppetPinTool Mode로 지정한 부분들이 보여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utosway 익스프레션은 사용자가 지정한 Puppet Pin Tool을 각 레이어로 변환하여 좀 더 조절하기 편하도록 보는 것과 같이 레이어 형태로 재구성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11.맨 위에 있는 [SwayControl1]_Shape Layer 1 레이어를 선택한 다음, Effect Control 부분을 확인해 봅니다. Autosway 익스프레션을 조절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컨트롤들이 생겨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다양한 설정 값으로 조절을 하게 됩니다. 하단을 보면, Wind 값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바람의 세기 및 간격까지도 설정 가능하여 좀 더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줄 수 있습니다.
12. Sway distance 값을 움직이는 x축의 거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값이 커질수록 흔들리는 거리가 커집니다.
13. Sway roundness는 움직임의 모션 패스가 좀 더 라운드가 되도록, 즉 좀 더 오브젝트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만들어 줍니다.
14. Lag factor는 오브젝트가 얼만큼 부드럽게 휘어지는 지를 결정합니다. 값을 높여줄수록 젤리처럼 말랑말랑한 느낌으로 움직입니다.
15. Sway distance를 5000, Sway roundness를 10으로 입력한 다음, Lag factor 값을 400으로 입력하고,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보면 그림처럼 보여집니다. 마치, 말랑말랑한 젤리가 흔들거리는 듯한 애니메이션이 만들어 집니다.
16. Curve Adjustment는 회전에 대한 옵션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오브젝트 맨 위의 Puppet Pin Tool의 값만 회전을 시킨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앞서 움직임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고정된 맨 위 상단 부분만 회전되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17. 애니메이션을 시켜보면 지금처럼 보여집니다. 맨 위에서 중간 Puppet Pin 부분까지는 고정된 상태에서 앞서 주었던 움직임이 보여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18. Rotation은 말 그대로 회전입니다. 맨 처음에 줬던 움직임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맨 처음 지정했던 상단의 Puppet Pin Tool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만 됩니다.
19. Rotation 값을 90으로 입력하고 애니메이션을 하면, 그림처럼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흔들 흔들거리며 움직입니다.
--------- 계속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