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TORIAL핸드폰에서 스포트라이트처럼 발광 연출하기

motionlab
조회수 2654

휴가가 한창인 8월입니다. 여름의 추억을 만끽하실 텐데, 건강과 더위에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이번 튜토리얼은 핸드폰에서 스포트라이트처럼 발광하는 빛이 영상의 카메라 앵글에 따라서 변형되는 발광 느낌을 연출하는 것입니다. After Effects CS6 버전부터 적용할 수 있는 몇몇 이펙트들이 있으므로 가능한 버전을 맞춰서 본 튜토리얼을 진행하길 바랍니다. 본 튜토리얼은 외국 사이트의 튜토리얼을 응용하여 제작되었음을 알려 드립니다.
 




01. 이번 튜토리얼에서는 전자기기의 액정 화면에 트래킹(Tracking)할 영상을 준비하는 것이 좋겠다. 소지하고 있는 핸드폰을 촬영해도 상관없고, 태블릿 PC나 모니터를 촬영하여도 무방하다. 저자의 경우에는 저자의 핸드폰을 직접 촬영하여 소스 영상을 준비하였다. 이왕 촬영하는 김에 같은 영상을 여러 번 촬영하고, 촬영시간도 4~6초 정도로 맞춰 주고, 그 중에 가장 괜찮은 영상을 고르길 바란다.



02. 다음에 준비할 것은 빛에 비치게 해줄 TEXT이다. 독자들은 일러스트레이터에서 직접 제작한 로고를 사용해도 좋고, 별도로 준비하지 못했으면 After Effects에서 TEXT 레이어를 생성하여 튜토리얼을 진행하여도 무방하다. 저자의 경우에는 별도로 준비한 일러스트레이터 파일을 After Effects에 적용하는 단계부터 시작하겠다.



03. After Effects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일러스트레이터 파일을 불러오자. 일러스트레이터 파일을 불러올 때 생성된 팝업창 하단에 보면 일러 파일을 어떻게 불러올지를 선택할 수 있다. Footage는 일러스트레이터 파일 자체를 하나의 레이어로 병합하여 불러오는 것이며, Composition은 일러스트레이터에 분류되어있던 레이어를 그대로 컴퍼지션을 생성하며 불러들이는 것이다. 저자는 Composition > Retain Layer Sizes를 선택하여 일러스트레이터 파일을 불러오겠다.



04. 일러스트 파일은 그림과 같이 컴퍼지션이 생성되며 프로젝트 창에 불러오게 된다. 생성된 컴퍼지션을 더블 클릭하면 시트가 활성화되며, 일러스트에서 분류했던 레이어들이 그대로 After Effects의 레이어에 그대로 불러들여왔음을 알 수 있다.



05. 추후에 수정할 때를 대비하여 레이에 이름을 정하는 게 좋겠다. 저자는 그림과 같이 레이어 명을 변경하고, 그 레이어들을 다시 전체 선택한 다음, 컴퍼지션 명을 'LOGO_Ani'로 재생성 하였다. 저자는 작업하지 않았지만, 본 튜토리얼의 밀도 있는 작업을 원하는 독자들 중에서는 이 컴퍼지션에서 텍스트 애니메이션작업을 하면 된다.



06. 우선 백그라운드를 만들자. 단축키 Ctrl + Y를 입력하여 솔리드 세팅창을 활성화 한 이후, 컬러는 블랙으로 지정하고 솔리드 이름을 BG로 작성하자. 그리고 생성된 솔리드 레이어는 LOGO_Ani 컴퍼지션 레이어의 밑에 배치하도록 하자.



07. 저자의 경우에 텍스트를 블랙으로 했기 때문에 블랙 BG를 생성했더니 로고가 안 보인다. 따라서 상위 메뉴 바 중에 Effect > Generate > Fill을 선택하여 LOGO_Ani 컴퍼지션의 로고 컬러를 짙은 그레이로 바꾸겠다.



08. 이어서 카메라를 생성하자. 단축키 Ctrl + Alt + Shift + C를 입력하면 카메라 세팅창이 그림과 같이 활성화되는데, 우측 상단의 Preset 항목에서 Custom을 28mm로 변경하고, 우측 하단에 위치한 Enable Depth of Field 항목이 체크 해제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생성하길 바란다.



혹시, 아래 그림과 같이 경고창이 확인되었다면, 신경 쓰지 말고 창을 닫아도 된다. 그림과 같은 경고창은 카메라에 적용할 수 있는 3D 레이어가 없다는 경고창인데, 추후에 3D 레이어를 체크하면 해결되는 문제이므로 일단 무시하자.



09. 이어서 라이트를 설치하자. 단축키 Ctrl + Alt + Shift + L을 입력하면 라이트에 관한 세팅창이 활성화되는데, 하단에 체크 항목인 'Cast Shadows'를 체크하고 OK 버튼을 클릭하자. 생성한 라이트는 그림과 같이 포지션을 Z축으로 500픽셀을 이동시킨 다음, LOGO_Ani 컴퍼지션의 레이어를 3D 레이어 체크를 해주자.



10. 로고가 라이트에 적용을 받으려면 활성화한 3D 레이어에서 'Material Options' 창에서 Cast Shadows를 On으로 체크해야 한다. 독자분들도 그림과 같이 LOGO_Ani 컴퍼지션의 Cast Shadows를 On으로 설정 변경해주자.



11. 또 하나의 솔리드 레이어를 만들자. 이 솔리드 레이어는 라이트 역할을 할 것이므로, 솔리드 레이어의 이름을 'Light Layer'라고 바꿔주고, 컬러도 화이트로 바꿔주자. 그리고 상단 바 메뉴에서 Retangle Tool 중에서 Ellipse Tool을 선택하여 그림과 같이 원모양의 마스크를 생성하자.



12. 지금 생성한 'Light Layer'도 3D 체크를 해준 다음, 'Material Options' 창에서 Cast Shadows를 Off로 그대로 두고, Accept Light도 Off로 변경하자. 이 'Light Layer'는 위치가 LOGO_Ani 컴퍼지션 보다는 뒤에 배치되어 있어야 하고, 라이트의 위치와 비슷하면 되므로, Z축을 400픽셀로 변경하겠다.



13. 'Light Layer'를 이동하고 나면 그림과 같이 보일 텐데, 현재 시점이 정면이므로 다른 시점에서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따라서 현재 작업창 하단에 Active Camera를 클릭하면 Custom View 1이 있는데, 그 항목을 클릭하여 시점을 변경하여 그림과 같이 어떤 위치인지 확인해보자. Custom View 1으로 변경한 이후에는 단축키 C를 입력하고, 클릭 드래그하면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저자와 같이 'Light Layer'는 LOGO_Ani 컴퍼지션 뒤에 배치시킨 것을 확인하고 다시 시점을 Active Camera로 변경하고 이어서 절차를 진행하겠다.



14. 하단 타임라인 창을 우 클릭하면 원하는 레이어를 생성할 수 있는데, 그림과 같이 Adjustment Layer를 생성하자(단축키는 Ctrl + Alt + Y이다). 생성한 Adjustment Layer는 CC Radial Fast Blur 이펙트를 적용할 것인데, 상위 바 메뉴 중에 Effect > Blur & Sharpen > CC Radial Fast Blur를 클릭한 다음, 좌측 상단에 위치한 Effect Control 창에서 CC Radial Fast Blur의 설정값 중에 Zoom 모드를 'Brightest'로 변경하고, Amount 수치값도 80정도로 맞추자. 그리고 마지막으로 레이어명을 'Light Shining'으로 변경하자.



15. 이번에는 Null Object 레이어를 생성해야 한다. 타임라인 창에서 우 클릭한 이후, New > Null Object를 클릭한 다음, Null Object 레이어의 이름을 'Point'로 변경하여 포지션의 Z축을 1,000픽셀로 수치를 변경하자. 이 'Point' 레이어를 다른 레이어들 보다 뒤쪽으로 배치하는 이유는 추후에 라이트 적용에 따라 스포트라이트처럼 빛의 퍼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이 부분은 추후에 다시 언급하겠다.



16. 이번 절차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우선 Light Shining 레이어를 클릭한 다음, Effect Control 창에서 CC Radial Fast Blur 이펙트의 항목을 살펴보면, 가장 상단에 Center 항목이 있을 것이다. ①그 항목의 스톱워치 아이콘(키프레임을 생성하는 아이콘)을 Alt + 클릭하면 타임라인 창에서 스크립트를 적용할 수 있게 활성화됨을 알 수 있다. ②타임라인 창에 활성화된 항목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골뱅이 모양 아이콘이 있을 텐데, 그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여 상위 레이어에 있는 'Point' 레이어를 드래그&드롭하면 우측에 텍스트가 입력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텍스트 옆에 아래와 같이 소문자 대문자까지 구분하여 이어서 써야 한다. .toComp([0,0,0]) 만약, 스크립트를 제대로 적용했다면 그림과 같이 수치 항목이 빨간색으로 나온 상태에서 골뱅이 모양 아이콘 옆에 등호 표시가 되어있을 있을 것이며, 스크립트가 잘못 적용되었다면, 등호 표시에 역 슬래쉬 라인이 그어져 있을 것이다.



17. 계속해서 Light Shining 레이어에 Curves 이펙트를 적용하겠다. 상위 바 메뉴 중에 Effect > Color Correction > Curves 이펙트를 적용하여 그림과 같이 그래프를 수정하면, 빛의 번짐이 더 극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18. 이제 Light Shining 레이어의 빛에 대한 컬러를 변경하여 보자. 일단 레이어 모드는 Normal 모드에서 'Screen' 모드로 변경하고 Light Shining 레이어에 Curves 이펙트를 하나 더 적용하자. 그리고 그림과 같이 Red 채널에 대한 그래프와 Green, Blue 채널에 대한 그래프를 조정하여 블루 느낌의 빛이 나도록 연출하겠다.



19. 저자는 15항에서 'Point' 레이어를 생성하는 이유로 빛의 번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라고 언급한바 있다. 지금 단계에서 'Point' 레이어의 Z축 수치를 변경하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Z축을 1,000픽셀로 설정한 것과 5,000픽셀 이상으로 설정한 것에 대한 빛의 차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그림을 준비하였다.


독자들도 단축키 C를 입력하고 마우스로 클릭 드래그해서 빛이 마치 스포트라이트처럼 연출되는 느낌을 확인해보길 바란다. 그리고 다시 원래 시점으로 되돌리고 싶을 경우, 타임라인 창의 카메라 레이어 내에 항목을 활성화하여 Reset을 클릭하면 된다.



20. 보다시피 지금까지 진행한 작업은 마치 빛이 강한 스포트라이트를 뒤에 배치하여 후광을 연출한 것이다. 여기서 공간감을 연출하기 위하여 먼지와 같은 느낌을 줄 것인데, 저자는 이 먼지를 After Effects의 기본 이펙트로 연출을 하겠다. 우선 새로운 솔리드 레이어를 생성하고(단축키 Ctrl + Y) 솔리드 레이어의 이름을 'Fractal Noise'로 정한 이후, 컬러는 그대로 화이트로 지정하겠다.



21. 새로 생성한 'Fractal Noise' 레이어는 이름 그대로 'Fractal Noise' 이펙트를 적용하겠다. 상위 바 메뉴 중에 Effect > Noise & Grain > Fractal Noise를 클릭한 다음, 그림과 같이 Fractal Type을 Dynamic으로 변경하고 중간쯤에 위치한 항목 중 Sub Rotation을 154로 수치를 변경하겠다.



22. 설정이 완료된 'Fractal Noise' 레이어를 그림과 같이 타원형 마스크로 형태를 만든 다음, Mask Feather 값을 120픽셀로 변경하겠다(Mask Feather 값은 빠르게 F 키를 두 번 입력하면 된다).



23. 'Fractal Noise' 레이어에 추가적으로 이펙트를 적용하겠다. 상위 바 메뉴 중에서 Effect > Channel > Solid Composite 이펙트를 적용하면 마스크로 처리된 'Fractal Noise'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흰색 솔리드가 적용된다. Effect Controls 창에서 Solid Composite 이펙트의 항목을 보면 솔리드의 컬러를 변경할 수 있는데, 그것을 블랙으로 변경하고, Fractal Noise 이펙트의 항목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Blending Mode를 Normal에서 'None'으로 바꿔주자. Blending Mode를 None으로 바꿔주는 이유는 Fractal Noise 사이에서 생기는 블랙 부분의 알파값을 더 뚜렷하게 보이기 위함이다(즉, 블랙과 화이트 사이에서 생기는 그레이 톤을 최대한 줄여준다는 의미이다).



24. 계속해서 'Fractal Noise' 레이어에 Curves 이펙트를 추가하여 그림과 같이 그래프를 변경한 다음, Red 채널의 그래프와 Blue 채널의 그래프를 변경하여 연기도 블루계열로 보이게 하자. 그 이후, 'Fractal Noise' 레이어를 3D 레이어로 체크한 이후, Material Options의 항목 중 Accepts Light을 Off로 변경해보자(12번 항의 절차 참조).




25. 설정이 완료된 'Fractal Noise' 레이어는 Z축으로 350픽셀을 주었는바, 이는 로고의 위보다 뒤쪽에 있어야 하고 Light Shining 레이어 보다 앞쪽에 있어야 한다. 저자는 Light Shining 레이어 보다 50픽셀을 앞에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Fractal Noise' 레이어는 타임라인 창에서 LOGO_Ani 컴퍼지션 레이어 보다 하위 레이어에 배치한 뒤, 레이어 모드를 'Screen' 모드로 변경하면 된다.



26. 이제 마지막으로 Fractal Noise가 자연스럽게 움직임을 줌으로 인해서 연기가 피어 오르며, 새어 나오는 빛이 랜덤으로 보일 수 있도록 연출하면 되는데, 저자는 간단하게 'Fractal Noise' 이펙트의 항목 중에 Evolution 항목의 스톱워치 아이콘(키프레임 생성 아이콘)을 Alt 키과 함께 클릭하고 스트립트 명령어를 'time*180'으로 입력할 것이다. 그러면 1차적으로 뿌연 연기 속에서 후광의 빛을 받는 로고가 연출된다.




27. 'Fractal Noise' 레이어를 복제하여 공간감 연출에 조금 더 신경 써 보겠다. 우선 'Fractal Noise' 레이어를 단축키 Ctrl + D를 입력하여 복제한 이후, 레이어의 Scale도 200%까지 올려주고, Z축도 LOGO_Ani 컴퍼지션 바로 뒤쪽에 배치될 수 있도록 이동시키겠다. 그 이후에는 Fractal Noise 이펙트의 항목 중에 Brightness를 –49로, Transform > Scale의 수치를 120으로, Evolution Options > Random Seed를 150으로 변경하여 다른 느낌의 연기 느낌을 연출하였다.



28. 저자는 위와 같은 절차로 'Fractal Noise' 레이어를 하나 더 생성하고 포지션의 Z축을 400으로 지정한 다음, Fractal Noise 이펙트 설정을 Brightness 34, Transform > Scale을 67로 변경하여 중앙에 빛이 좀 몰리도록 하였다.



29. 이제 공간감과 빛에 대한 작업은 마무리가 되었다. 아쉬운 것은 로고의 두께가 종이처럼 얇다는 것인데, 저자는 이 부분을 해결하고자 Bevel Alpha 이펙트를 사용하였다. 우선, LOGO_Ani 컴퍼지션을 단축키 Ctrl + D로 입력하여 복제하고, 이를 가장 상위 레이어에 배치시킨 이후, Material Options > Accept Light를 Off로 체크 변경하고 나서 Fill 이펙트의 컬러를 블랙으로 변경하였다. 그런 다음, 상위 바 메뉴 중에 Effect > Perspective > Bevel Alpha 이펙트를 적용하여 Edge Thickness를 2.1로 변경하고 Light Angle을 5, Light Intensity를 1.0으로 변경 설정하였다.



30. 독자들도 위 절차대로 진행하면 그림과 같이 로고에 밝은 면이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로고의 두께 감이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한 단계 더 두께 감을 주고자 29번 항과 같은 절차처럼 LOGO_Ani 컴퍼지션을 복제하여 하위 LOGO_Ani 컴퍼지션에 Bevel Alpha 이펙트를 적용하여 설정값만 Edge Thickness를 2.9로, Light Angle을 -60, Light Intensity를 0.6으로 변경하였으며, 마지막으로 Z축을 10픽셀만 차이를 주어서 두께 감을 살짝 더 표현하였다.



31. LOGO 작업의 마지막 단계인 컬러 보정을 해보자. 단축키 Ctrl + Alt + Y를 입력하여 Adjustment Layer를 생성한 이후, 레이어 이름을 Look Color로 변경하겠다. Look Color 레이어에 Curves 이펙트를 적용하여 Blue 채널과 Red 채널의 그래프 값을 조절하여 조금 더 블루 느낌이 연출되도록 조정하면 LOGO 작업은 마무리된다.



32. 이제 저자가 직접 핸드폰을 찍은 영상에 LOGO 영상을 합성해보겠다. 저자는 원하는 듀레이션과 원하는 각도의 영상이 나올 때까지 같은 영상을 13차례나 촬영하였고, 이중에 한 영상을 선택하여 After Effects에 불러들였다. 불러들인 영상으로 컴퍼지션을 생성하여 합성 준비를 해보자.



33. 영상 합성을 위해서는 트래킹(Tracking) 작업이 우선 되어야겠다. After Effects의 기능 중에 Tracker 기능이 있는데, 좌측에 창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면, 상위 바 메뉴 중에 Window > Tracker를 클릭하면 되겠다. 좌측에 Tracker 창이 활성화되었다면, 우선 트래킹할 영상을 클릭한 다음, Tracker 창의 항목 중에 좌측 상단에 있는 'Track Camera'를 클릭해 보자. 클릭하면 영상에 메시지가 뜨면서 Tracking Point를 계산하기 시작한다.



34. 트래킹 작업이 완료되었으면 Effect Controls 창의 3D Camera Tracker 이펙트를 클릭하면 화면에 여러 컬러의 Tracker Point가 확인이 되는데, 이 중 3개의 포인트를 지정하고 우 클릭하면 그림과 같이 팝업창이 활성화되고, 그 중 'Create Null and Camera'를 클릭하면 타임라인 창에 Camera 레이어와 Track Null 1이라고 적힌 Null Object 레이어가 생성된다. 그리고 트래킹된 부분은 Camera 레이어에 키프레임이 한 프레임씩 생성되어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35. 다음을 로고 작업한 컴퍼지션을 촬영 영상 레이어 상위에 배치해보자. 저자의 경우, 로고 작업한 컴퍼지션의 이름은 '123dp new logo'였다. 배치한 이후에는 우선 '123dp new logo' 컴퍼지션이 트래킹 포인트를 따라가게 하기 위해서 Track Null 1 레이어에 Parents를 걸고, Transform 항목에서 Reset을 클릭하면 그림과 같이 컴퍼지션의 위치가 자리 잡게 된다. 약간 위치가 틀린 경우에는 독자들이 직접 포지션과 로테이션, 스케일 값을 조절하면서 자연스럽게 화면 위에 올려져 있는 것 같이 연출해야 할 것이다.



36. 최초에 컴퍼지션의 사이즈와 핸드폰의 액정 사이즈를 맞춘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저자의 경우에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액정 사이즈를 맞추었다. 그리고 핸드폰 액정을 더 자연스럽게 표현하기 위하여 '123dp new logo' 컴퍼지션 레이어를 2개 복제하여 상위 2개의 레이어 모드는 'Screen' 모드로 하고, 가장 하위 레이어는 'Darken Color' 모드로 설정하였다.



37. 이제 발광하는 핸드폰 액정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화면 액정의 빛이 핸드폰 밖으로 뻗어나가게끔 표현해야 할 것이다. 우선 Adjustment Layer를 생성하여 순서대로 Tint 이펙트, Curves 이펙트, CC Radial Fast Blur 이펙트를 적용하였고, Curves 이펙트의 그래프를 그림과 같이 수정하고, CC Radial Fast Blur 이펙트의 Amount 수치값을 96으로 변경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레이어 모드를 'Screen' 모드로 바꾸어주었다(절차는 16번 항에서 Light Shining 레이어를 제작하는 과정을 참고하기 바란다).



38. ①마지막 단계로 Track Null 1 레이어를 복제하자. 그러면 Track Null 2 레이어라는 이름으로 복제되었을 것이다. ②가장 상위에 있는 Adjustment Layer의 이펙트 중 CC Radial Fast Blur 이펙트에서 Center 항목의 스톱워치 아이콘(키프레임 생성 아이콘)에 Alt 키를 입력하고 클릭하면 스트립트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되고, 골뱅이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여 Track Null 2 레이어에 드래그 한 다음, ③스트립트 명령어 뒤에 '.toComp([0,0,0])'를 입력하면 된다(16번 항 절차 참고).



39. 이제 사실상 핸드폰에서 스포트라이트처럼 발광하며 연출하기 작업은 끝났다. 그러나 저자의 경우에는 촬영한 소스의 영상이 밝으므로, 조금 어둡게 연출하여 스포트라이트 느낌을 더 살려보겠다. 우선 촬영 영상 레이어에 Curves 이펙트를 적용한 다음, 그림과 같이 그래프를 수정하자. 그리고 마지막으로 블랙 솔리드를 생성하여 촬영 영상 레이어 위에 배치하고 그림과 같이 마스크 영역을 지정한 이후, Inverted를 체크하고, Feather 값을 주면 주위가 조금 더 어두워지도록 처리가 될 것이다.




이상 After Effects로 핸드폰에서 스포트라이트처럼 발광 연출하기를 해보았습니다. SC6의 기본 이펙트로 재미있는 연출을 해보았는데, 독자들은 더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더 재미있고, 더 멋있는 영상을 만들길 기대합니다.  막바지 더위를 마음껏 만끽하시면서 즐거운 추억들 많이 만드시길 바랍니다. 더 유익하고 알찬 튜토리얼을 준비하여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Since 2004


SERVICE

02-517-0985
Mon - Fri AM 10:00 - 21:00
Red-Day Off

BANK

Shinhan BANK 110-362-296920
Motionlab.

ARTWORKS

Seoul, Korea  ㅣ  사업자등록번호 : 211-90-90651   상호명 : 모션랩학원    대표자 : 이병현   개인정보관리 : 김진희   ㅣ  10-11, Sapyeong-daero 55-gil,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20-서울서초-400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