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기본 이펙트를 활용하여 디지털 느낌의 로고 애니메이션하기

motionlab
조회수 2127

글/ 김진원 MG25:Motionlab 강사, www.motionlab.co.kr

이번 시간에는 기본 이펙트들을 활용하여 디지털 느낌의 로고 애니메이션을 해보겠다. 기본 이펙트들을 잘 이해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합해서 사용한다면 극대화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기본 이펙트 조차 이해하지 못하고 외부 플러그인에 집착하는 것은 잘못된 공부 방식이다. 일단 기본 이펙트들을 먼저 공부하는 것이 올바른 순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01. 아래 이미지는 최종 결과물의 캡쳐 이미지다. 기본 이펙트만을 사용하여 디지털적인 느낌의 로고 애니메이션을 연출해 보았다.

 

 

02. 일단 소스가 될 MG25 로고 일러스트 파일을 임포트 시키자. 그림과 같이 Composition - Croped Layer를 선택하도록 하자. 그래야 일러스트레이터에서 작업한 레이어들이 다 분리되어 들어오면 각 레이어 사이즈에 맞게 Crop되어 불려진다.

 

 

03. 임포트 시키게 되면 컴포지션이 생기게 되는데, 더블클릭하여 컴프를 열어보자. 아래 그림과 같이 네이밍 작업으로 레이어를 정리하였다. 작업을 함에 있어서 레이어를 정리하고 네이밍을 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순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래 이미지를 보면 Rasterize 아이콘이 활성화 되어 있는 것이 보일 것이다. 필자는 사이즈를 140%로 늘려 주었기 때문에 벡터 이미지를 깨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Rasterize 아이콘을 활성화 시킨 것이다. 벡터 이미지를 불러와 놓고 Rasterize를 체킹하지 않고 작업한다면 벡터 이미지의 의미가 없어지는 것이다.

 

 

04. 일단 ‘원’ 레이어의 솔로 키를 체킹하여 ‘원’ 레이어만 보도록 하자.

 

 

 

05. 단축키 Ctrl + Y를 눌러 솔리드를 생성한다. 이름은 ‘원_matt’로 하고 사이즈는 가로, 세로 모두 200, 200으로 한다.

 

 

06. Effect > Generate > Circle 이펙트를 적용 시킨다. Circle 이펙트는 말 그대로 다양한 모양의 Circle을 만들어 주는 이펙트이다.


 

07. ‘원_matt’ 솔리드의 포지션을 '원' 레이어 중앙에 맞춘 후, Edge 옵션을 Edge Radius로 변경시킨다. Radius와 Edge Radius를 조절해 그림과 같이 Circle을 '원' 레이어의 1/3의 두께만큼 조절해 준다. 정확한 수치를 기재하지 않는 것은 소스의 크기가 다들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값을 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08. Effect > Transition > Radial Wipe를 적용시킨다. 원 모양으로 트랜지션 시켜 주는 이펙트이다.


 

09. Transition Completion을 100% > 0% 가 되도록 키프레임을 설정한다. 그리고 Start Anggle을 0도에서 2바퀴 정도 돌려준다. 그럼 써클라인이 둥글게 돌아가면서 생성될 것이다.

 

10. 이제 '원' 레이어를 Alpha Matte를 선택한다. 그렇게 되면 아래 이미지처럼 상위 ‘원_matt’의 알파값 만큼만 자기 자신이 보여지게 된다.

 

11. 아래 이미지와 같이 '원' 레이어와 ‘원_matt’ 레이어를 복사해 각각 3개가 되도록 한다. 그 후 '원_matt' 레이어의 크기를 조절해 각각 서로 다른 크기로 만들어 준다. 그리고 Start Angle 값도 각각 서로 다르게 주어 다른 움직임을 주도록 한다.



12. 매트의 크기와 Start Angle 옵션값을 각각 다르게 하면, 그림과 같이 3개의 서로 다른 라인이 완성된다.


 

13. 이제 숫자 '25'에 솔로 키를 활성화시켜 '25'만 보자. 완료 영상에서 보면 '25'란 숫자와 나머지 텍스트들은 모두 마치 랜덤한 마스크 애니메이션처럼 불특정 하게 나타났다 사라지게 된다. 물론, 마스크로도 할 수 있는 작업이지만 'card wipe' 이펙트로 간단하게 해결해 보겠다. 우선 단축키 Ctrl + Y를 눌러 'card wipe'을 적용할 솔리드를 생성한다. 솔리드 이름은 'card wipe'으로 해 주고 가로, 세로 모두 100으로 해준다.

 

14. Effect > Transition > Card Wipe를 적용해 준다.


 

15. 'card wipe'을 적용하면 기본적으로 아래 이미지와 같은 모양이 나타날 것이다. 2개의 이미지를 선택해 이펙트 이름대로 카드모양으로 트랜지션 시켜 주는 이펙트이다. 이 카드 와이프를 이용하여 matt를 만들어 보겠다.

 

16. Transition Completion, Transition Width를 모두 0%로 해준다. Rows와 Columns는 각각 10, 1로 해준다. 그리고 Position Jitter 옵션에서 X Jitter Amount, X jitter Speed 는 각각 5, 5를 입력한다.

 


17. 그러면 아래 이미지처럼 여러 개의 라인이 X축으로 불특정한 움직임으로 움직이게 된다.


 

18. 이제 이 솔리드를 '25' 위로 이동시키고 사이즈를 '25'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해 준다.

 


19. 'card wipe' 솔리드를 '25' 숫자 레이어 상위에 위치 시킨 후 '25' 숫자 레이어에 알파매트를 체크해 준다.


 

20. 알파매트를 적용시키면 아래 그림과 같이 '25' 숫자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 만큼만 보여지게 된다.


 

21. 'card wipe' 레이어가 계속 애니메이션 되기 때문에 '25'란 숫자를 적립 시키기 위해서 '25' 레이어를 아래 그림과 같이 단축키 Ctrl + Shift + D를 눌러 레이어를 자른 후 알파매트를 풀어준다.


 

22. 나머지 텍스트들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해주고, 서로의 타이밍을 약간씩 다르게 해 주자. 그러면 아래와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3. 이제 라인도 애니메이션 해보자. 마스크로 라인을 반으로 나눠 준다.


 

24. 라인을 하나 더 복사 한 후 마스크 옵션의 Inverted를 체크해 준다.

 

25. 그림과 같이 포지션에 키프레임을 생성해 준다. 서로 떨어져 있다가 모여서 적립되는 움직임이다.



26. 적용된 키 프레임을 모두 선택하고, 단축키 Ctrl + Alt + Click을 해서 Hold Key 프레임으로 바꿔준다. 그냥 밋밋한 움직임 보다는 홀드 키 프레임 애니메이션을 사용하여 더 재미를 준 것이다.


 

27. 이제 라인, 원, 타이포로 영상을 꾸며 보자. 우선 단축키 Ctrl + R을 눌러 그림과 같이 룰러를 활성화시킨 뒤, 가이드 라인을 꺼내자. 패스를 사용하여 라인을 그릴 것인데, 눈 짐작으로 하는 것보다 이렇게 가이드 라인을 꺼내는 것이 정확하다.


 

28. 단축키 Ctrl + Y를 눌러 라인을 생성할 솔리드를 생성하도록 하자. 이름은 'line'이라고 해준다. 사이즈는 컴프 사이즈로 한다.


 

29. 마스크 패스를 다음과 같이 그린다. 아무 곳이나 찍은 후 포인트를 옮겨 주면 가이드 라인에 달라 붙게 된다.


 

30. Effect > Generate > Stroke 이펙트를 적용한다.


 

31. Brush Size를 1, Paint Style을 On Transparent로 바꿔 주면, 원래의 화이트 솔리드는 보이지 않고 라인만 남게 될 것이다.


 

32. 그림처럼 라인만 남게 된다.


 

33. End 값을 0% > 100%, Start 값을 0% > 100%로 그림과 같이 스타트 값의 타이밍을 End값 보다 늦게 해주면 라인이 흘러 가는 애니메이션이 되게 된다.


 

34. 이번엔 가이드 라인을 그림과 같이 위치 시키도록 한다.


 

35. 방금 만든 라인 솔리드를 복사하여 패스 포인트를 양 끝만 남겨두고, 그림처럼 위치시킨다. 앞서 라인이 이동하면서 사라지는 애니메이션을 만들었기 때문에 또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복사하여 패스 포인트만 삭제를 한 것이다.


 

36. 총 4개를 복사해 각각 가이드 라인 대로 패스를 이동시킨 후, 그림과 같이 시간차를 두어 레이어를 위치 시킨다.


 

37. 그러면 그림과 같이 왼쪽부터 라인이 순차적으로 돌게 된다. 이런 식으로 본인이 위치 시키고 싶은 위치에 라인을 더 배치 시킨다.


 

38. 자 이제 원을 만들어 줄 솔리드를 만들어 보자. 단축키 Ctrl + Y를 눌러 솔리드를 만들자. 이름은 'circle'로 해주고 사이즈는 가로, 세로 모두 150으로 해 준다.


 

39. Effect > Generate > Circle를 적용시켜 준다.

 

40. Edge를 Edge Radius로 바꿔준 후, Radius와 Edge Radius의 옵션값을 각각 0 > 65 정도로 키 프레임을 잡아 준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시간차를 준다.


 

41. 레이어의 포지션을 그림과 같이 이동시킨 후, 투명도를 60% 정도로 낮춰 주면 그림과 같이 원이 나와서 사라지는 애니메이션이 된다. 이 circle 레이어도 마찬가지로 스케일을 조절해 몇 군데 더 배치한다.


 

42. 이제 타이포를 사용하여 데코해 보자. 화면에 Motion Graphic 텍스트를 적어 놓는다. 필자는 잘 보이게 하기 위하여 크게 써 넣었지만 여러분은 8~9 포인트 정도로 작게 쓰길 바란다.


 

43. Animation > Browse Presets을 클릭하자. After Effects의 프리셋을 모아 놓은 창이 열릴 것이다. 이 프리셋들을 잘 사용하기만 한다면 굉장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44. Text > Animate In > Decoder Fade In.ffx를 선택하자. 화면 우측에 어떤 프리셋인지 프리뷰가 나온다. 텍스트의 앞 글자부터 랜덤한 글자로 순차적으로 적립되는 애니메이션이다. 더블클릭하면 텍스트에 프리셋이 적용될 것이다. 이때 텍스트 레이어가 꼭 선택된 상태여야 적용되니 주의하도록 하자.


 

45. 그림과 같이 텍스트 레이어에 키 프레임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키 프레임 간격이 넓게 잡혀 있을 텐데, 그림과 같이 뒷 키 프레임을 앞으로 당겨줘 타이밍을 조절한다.

 

 

46. 이제 텍스트를 나타나게 했으니 사라지게 해보자. 이번에는 Text > Animate Out > Encoder Fade Out.ffx를 선택하자.

 

 

47. 앞과 마찬가지로 키 프레임이 찍혀 있을 것이다. 간격을 좁혀 주고 그림과 같이 타이밍을 틀리게 해 텍스트가 나타났다가 사라지게 해주자. 이 텍스트 레이어도 여러 개 복사하여 글자 내용을 바꿔서 여러 군데 위치 시켜준다.

 

 

48. 단축키 Ctrl + Y를 눌러 뒤에 깔아줄 솔리드를 만들어 준다. 이름은 Back으로 하고 사이즈는 컴프 사이즈, 색상은 진회색으로 해준다. 그런 후 레이어를 최하위로 내려준다.


 

49. 이제 디지털 느낌을 더해줄 Grid를 만들어 보자. 단축키 Ctrl + N을 눌러 새 컴프를 만들어 준다. 이름은 'grid', 크기는 702 X 480으로 해준다.

 

 

50. 단축키 Ctrl + Y를 눌러 그리드를 적용할 솔리드를 만들어 준다. 이름은 'grid'로 하고 크기는 컴프 사이즈로 한다.


 

51. Effect > Generate > Grid를 적용해 준다.



52. Border는 1로 해주고, Anchor와 Corner를 적절히 조절해 모눈 종이 느낌을 내준다.


 

53. 작업 컴프로 돌아와 방금 만들어 놓은 'grid' 컴프를 back 레이어 상위에 올려 놓고, 그림과 같이 마스킹 해준다. 그리고 마스크가 살짝 움직이게 애니메이션을 주면 완성이다.


 

오늘 사용한 이펙트들은 굉장히 기본적인 이펙트이다. 이런 기본적인 이펙트를 가지고 어떻게 사용하고 가공하느냐에 따라 결과물의 완성도가 달라지는 것이다. 많은 입문자들이 화려한 이펙트에 눈을 돌리고 관심을 갖지만, 정작 실무에서는 그런 이펙트들은 그리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기초를 튼튼히 쌓는다면 후에 엄청나게 소중한 재산이 될 것이란 것을 이야기해 주고 싶다. 당장은 마음이 조급 하더라도 천천히 차근차근 튼튼하게 기초를 쌓아 나가길 바란다.




ⓒ Since 2004


SERVICE

02-517-0985
Mon - Fri AM 10:00 - 21:00
Red-Day Off

BANK

Shinhan BANK 110-362-296920
Motionlab.

ARTWORKS

Seoul, Korea  ㅣ  사업자등록번호 : 211-90-90651   상호명 : 모션랩학원    대표자 : 이병현   개인정보관리 : 김진희   ㅣ  10-11, Sapyeong-daero 55-gil, Seocho-gu, Seoul, Republic of Korea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20-서울서초-400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