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 인공지능 이미지생성 이펙트
AI 기반의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툴. Local Diffusion
AE 인공지능 이미지생성 이펙트AI 기반의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툴. Local Diffusion
After Effects Nebulosity Plugin Tutorlal
성운, 구름, 은하, 연기등을 볼륨메트릭으로 생성할 수 있는 AE 플러그인입니다. GPU 가속이 되어서 속도가 어느 정도 나오는 유용한 플러그인입니다. 다운받으실 수 있는 AE버전은 CC 2023 버전입니다. - ▶ Plugin Info : https://aescripts.com/nebulosity/ ▶ Download Projects : https://bit.ly/3OxBHaI - 영상에서 못다한 몇가지 이야기는 튜토리얼로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More Tutorial : https://bit.ly/3GU5iZS
After Effects Nebulosity Plugin Tutorlal성운, 구름, 은하, 연기등을 볼륨메트릭으로 생성할 수 있는 AE 플러그인입니다. GPU 가속이 되어서 속도가 어느 정도 나오는 유용한 플러그인입니다. 다운받으실 수 있는 AE버전은 CC 2023 버전입니다. - ▶ Plugin Info : https://aescripts.com/nebulosity/ ▶ Download Projects : https://bit.ly/3OxBHaI - 영상에서 못다한 몇가지 이야기는 튜토리얼로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More Tutorial : https://bit.ly/3GU5iZS
Shape Layer :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1
Shape Layer :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1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2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2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3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3
Procreate에서 PSD 아웃풋할때 생기는 AE 오류 해결방법
Procreate에서 PSD 아웃풋할때 생기는 AE 오류 해결방법
NVIDIA CANVAS 프리뷰
NVIDIA CANVAS 프리뷰
Create_Of_Martian 조재현
Create_Of_Martian 조재현
Dojo Shifter Script Tutorial
Dojo Shifter Script Tutorial
Pose2Pose Script
Pose2Pose Script
The Best Tutorials for our FREE Nebula Assets
The Best Tutorials for our FREE Nebula Assets
Matte를 이용한 타이포 애니메이션
Matte를 이용한 타이포 애니메이션
Shape Layer의 Repeater와 Wiggle Transform 활용_파티클 만들기
Shape Layer의 Repeater와 Wiggle Transform 활용_파티클 만들기
Trapcode Particular 01
Trapcode Particular 01
Trapcode Particular 02
Trapcode Particular 02
Text로 화살표 애니메이션 만들기
Text로 화살표 애니메이션 만들기
방사형 Shape Layer 제작시 오류수정
방사형 Shape Layer 제작시 오류수정
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
【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입니다.
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입니다.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을 하나 올려봅니다.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을 하나 올려봅니다.
이번 시간에는 Trapcode Form 이펙트를 사용하여 영화의 Outro 영상을 구현해 보겠다. 아래 이미지는 영화 의 오리지널 Outro 영상이다.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파티클들이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있다. 파티클들이 2D 평면 상태가 아닌 Z축으로도 배치가 되어 이미지의 볼륨감도
표현해 주고 있다. 이제 Trapcode Form 이펙트를 사용하여 이 영상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것이다.
글/ 김진원 MG25:Motionlab 강사, www.motionlab.co.kr
01. 일단 결론만 먼저 이야기 하자면, 아래의 이미지처럼 우리가 원하는 장면을 만들 것이다.
02.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 이미지 소스가 필요한데, 아래 이미지는 웹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이미지이다. 이때 유의사항 중 하나는 명암대비가 적절한 수준의 이미지가 좋다.
03. 단축키 Ctrl+N을 눌러 새 컴프를 만들도록 하자. 컴프 이름은 JASON STATHAM_image로 하고, 가로 720, 세로 480의 컴프를 만들도록 한다. 듀레이션은 넉넉히 10초를 주었다.
04. 이미지를 컴프에 내려 놓고 그림과 같이 펜툴을 사용하여 마스킹한다.
05. Mask Feather 값을 55를 주어 이미지 외곽을 부드럽게 처리해 준다.
06. 색보정을 위해서 Adjustment Layer를 생성 후, Effect > Color Correction > Curves 이펙트를 적용한다.
07. 커브의 그래프 모양을 그림과 같이하여 이미지의 색 대비가 확실하도록 보정한다.
08. Effect > Distort > Turbulent Displace를 적용한다.
09. Amount는 2를 입력하고, Evolution에 Alt + 클릭을 하여 익스프레션을 활성화 시킨 뒤, Time*200이라고 입력한다. 키를 잡아 줄 필요 없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값이 올라가게 된다. Turbulent Displace를 적용하게 되면 이미지가 왜곡되면서 일렁이게 된다. 이 이미지를 Form의 Map 소스로 사용할 것이므로, Map 소스가 일렁이면 Form도 함께 일렁이게 된다. 그렇게 때문에 Map 소스 자체에 움직임을 준 것이다.
10. 단축키 Ctrl+N을 눌러 새 컴프를 생성한다. 컴프 이름은 form으로 하고, 사이즈는 720 X 480으로 한다. 듀레이션은 10초로 만든다.
11. 단축키 Ctrl+Y를 눌러 Form을 적용할 새 솔리드를 생성한다. 이름은 form으로 한다.
12. 솔리드에 Effect > Trapcode > form을 적용시킨다.
13. Form을 적용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그리드 모양이 나온다. Form 이펙트는 Particular의 Grid를 특화 시켜 만들어진 이펙트이다. 옵션들을 살펴보면 Particular 이펙트와 상당히 유사한 것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4. Base Form 옵션에서 Size X, Y를 각각 720, 480으로 하고, Particles in X, Y, Z를 각각 300, 200, 1로 해준다. 파티클의 갯수를 정해 주는 옵션이다.
15. Particle 옵션에서 Sphere Feather 옵션을 0, Size를 2로 입력해 준다.
16. 만들어 두었던 JASON STATHAM_image 컴프를 내려 놓고 눈을 꺼준다. 그리고 Layer Maps 옵션의 Color and Alpha에서 JASON STATHAM_image를 선택한다. Functionality는 RGBA to RGBA를 선택하여 맵 소스의 Alpha 영역까지 표현되도록 한다. Map Over는 XY를 선택한다.
17. 옵션값들을 바꿔 보면 그림과 같이 파티클들이 모여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램프 리뷰를 해보면 Map 소스에 일렁이는 왜곡을 주었기 때문에 Form도 마찬가지로 일렁이는 것을 볼 수 있다.
18. 이제 파티클들을 앞뒤로 이동시켜 이미지의 볼륨감을 줘보자. 그러기 위해선 Map 소스가 필요하므로 Map 소스를 제작해 보겠다. 아까 만들어 두었던 JASON STATHAM_image 컴프를 복사하여 이름을 gray_map으로 바꿔준다. adjustmentlayer에 적용된 Curves 이펙트를 삭제해준 후, 그림과 같이 Effect > Color Collection > Tint 이펙트를 주어서 gray로 바꿔 주고, Effect > Color Collection > Level 이펙트의 그래프를 그림과 같이 바꾸어 명암 대비를 조절해 준다. 그리고 Effect > Blur & Sharpen > Fast Blur 에서 Blurriness 옵션값을 2 정도로 하여 이미지를 부드럽게 처리한다.
19. 이펙트들을 적용한 그림이다.
20. 이제 Form 컴프로 돌아와 Gray_map 컴프를 내려 놓고, 역시 눈을 꺼준 후, Form 이펙트의 Layer Map > Displacement 옵션의 Functionality를 Individual XYZ를 선택하여 X, Y, Z 값을 각각 따로따로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Layer For Z에서 gray_map을 선택해 준 후, Strengh를 -50으로 입력한다.
21. 옵션값을 적용하면 그림과 같이 이미지에 볼륨감이 생긴다. 측면에서는 어떻게 보여지는지 확인해본다.
23. Disperse & Twist 옵션의 Disperse 값을 20으로 입력하면 파티클들이 퍼지게 된다. Displacement Mode를 XYZ Individual을 선택하여 X, Y, Z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준 후, Z displace에 60을 입력하여 Z축으로 이미지를 비틀어 준다.
24. 옵션값을 적용한 그림이다.
25. 이제 이미지의 외곽만 파티클이 퍼지도록 해 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블랙 & 화이트로 된 Map 소스가 필요하다. 프로젝트 패널에서 gray_map을 복사하여 이름을 disperse_map으로 바꿔 준다. 그 다음, Adjustment Layer는 삭제해 주고 이미지 레이어에 Effect > Generate > Fill을 적용시킨다.
26. 그림과 같이 Color를 블랙으로 바꿔준다.
27. 단축키 Ctrl + Y를 눌러 720 X 480 사이즈의 화이트 솔리드를 생성하여 이미지 아래로 깔아 준다.
28. Mask Feather 값과 Scale 값을 적절히 조절하여 그림과 같이 만들어 준다.
29. Form 컴프로 돌아와 방금 만든 disperse_map 컴프를 내려 놓고 눈을 끈다. 그리고 Form 옵션의 Layer Maps > Disperse의 Layer를 disperse_map을 선택하고 Map Over를 XY로 선택해 준다.
30. 옵션을 변경해 주면 그림과 같이 Map 소스의 블랙부분은 Disperse 값이 적용되지 않고 화이트 부분만 파티클들이 흩어진 것을 볼 수 있다.
31. 그림과 같이 Base Form > Center XY를 오른쪽으로 이동시켜준다.
32. Spherical Field 옵션의 Sphere 1, 2의 위치를 조절하여 이미지를 이루고 있는 파티클의 모양을 바꿔준다.
33. Sphere를 사용하여 그림과 같이 만들어 준다.
34. 이제 배경에 깔릴 Form을 만들어 보자. 단축키 Ctrl + Y를 눌러 Form을 적용할 솔리드를 만들어 준다. 이름은 Form_back으로 해준다.
35. Form 이펙트를 적용 후 Base Form 옵션의 Size X, Y를 각각 930, 200으로 해준다. Particles in X, Y, Z는 각각 10, 3, 0으로 해준다.
36. Particle 옵션의 Sphere Feather를 75, Size를 50으로 바꿔준다.
37. Color Map의 색상을 그림과 같이 바꿔주고 Map Opac+Color Over를 X로 바꿔준다.
38. 옵션값을 적용시킨 그림이다.
39. 이제 이 파티클들을 랜덤한 사이즈로 애니매이션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또 Map 소스가 필요하다. 단축키 Ctrl + N을 눌러 새 컴프를 만든다. 컴프 이름은 Fractal_map으로 한다.
40. 단축키 Ctrl + Y를 눌러 이펙트를 적용할 솔리드를 만들어 준다. 이름은 Fractal로 해준다.
41. Effect > Noise & Gain > Fractal Noise를 적용한다.
42. Fractal Type을 Turbulent Smooth로 바꿔주고, Evolution에 단축키 'Art + 클릭'을 하여 익스프레션을 활성화시켜준 다음, Time*150을 입력해 준다.
43. 옵션값을 적용한 모습이다. 블랙과 화이트가 랜덤한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
44. 이제 Form 컴프로 돌아와 방금 만든 fractal_map 컴프를 내려 놓고 눈을 끈 다음, Layer Maps 옵션의 Size > Layer을 Fractal_map을 선택해 준다. Map Over는 XY를 선택해 준다.
45. 적용하게 되면 파티클이 맵 소스의 루미넌스 값에 따라 사이즈가 랜덤하게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46. 아래 그림과 같이 옵션값과 카메라에 키를 주어 애니매이션을 만들어보자.
이번 시간에는 Form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형상화시켜 보았다. 이번 튜토리얼의 포인트는 Form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스킬 자체보다는 Form에서 Map 소스의 활용이다. Map 소스의 적용 원리를 이해한다면 Form을 사용하여 다양한 이펙트를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단순히 Form만 사용하기 보다는 다른 이펙트들을 조합하여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