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 인공지능 이미지생성 이펙트
AI 기반의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툴. Local Diffusion
AE 인공지능 이미지생성 이펙트AI 기반의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툴. Local Diffusion
After Effects Nebulosity Plugin Tutorlal
성운, 구름, 은하, 연기등을 볼륨메트릭으로 생성할 수 있는 AE 플러그인입니다. GPU 가속이 되어서 속도가 어느 정도 나오는 유용한 플러그인입니다. 다운받으실 수 있는 AE버전은 CC 2023 버전입니다. - ▶ Plugin Info : https://aescripts.com/nebulosity/ ▶ Download Projects : https://bit.ly/3OxBHaI - 영상에서 못다한 몇가지 이야기는 튜토리얼로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More Tutorial : https://bit.ly/3GU5iZS
After Effects Nebulosity Plugin Tutorlal성운, 구름, 은하, 연기등을 볼륨메트릭으로 생성할 수 있는 AE 플러그인입니다. GPU 가속이 되어서 속도가 어느 정도 나오는 유용한 플러그인입니다. 다운받으실 수 있는 AE버전은 CC 2023 버전입니다. - ▶ Plugin Info : https://aescripts.com/nebulosity/ ▶ Download Projects : https://bit.ly/3OxBHaI - 영상에서 못다한 몇가지 이야기는 튜토리얼로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More Tutorial : https://bit.ly/3GU5iZS
Shape Layer :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1
Shape Layer :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1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2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2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3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3
Procreate에서 PSD 아웃풋할때 생기는 AE 오류 해결방법
Procreate에서 PSD 아웃풋할때 생기는 AE 오류 해결방법
NVIDIA CANVAS 프리뷰
NVIDIA CANVAS 프리뷰
Create_Of_Martian 조재현
Create_Of_Martian 조재현
Dojo Shifter Script Tutorial
Dojo Shifter Script Tutorial
Pose2Pose Script
Pose2Pose Script
The Best Tutorials for our FREE Nebula Assets
The Best Tutorials for our FREE Nebula Assets
Matte를 이용한 타이포 애니메이션
Matte를 이용한 타이포 애니메이션
Shape Layer의 Repeater와 Wiggle Transform 활용_파티클 만들기
Shape Layer의 Repeater와 Wiggle Transform 활용_파티클 만들기
Trapcode Particular 01
Trapcode Particular 01
Trapcode Particular 02
Trapcode Particular 02
Text로 화살표 애니메이션 만들기
Text로 화살표 애니메이션 만들기
방사형 Shape Layer 제작시 오류수정
방사형 Shape Layer 제작시 오류수정
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
【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입니다.
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입니다.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을 하나 올려봅니다.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을 하나 올려봅니다.
글/ 김진원 Motionlab 강사, www.motionlab.co.kr
이번 시간에는 익스프레션을 활용해 3D 레이어를 간단하게 배치해 보겠다. 아래 그림의 잔디와 같이 3D 공간상에 잔디를 이용하여 바닥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레이어를 복사하고 위치시켜야 하는 그야말로 단순하기 짝이 없는 작업을 감수해야 한다. 이 같은 작업을 익스프레션을 이용해 간단하고 쉽게 해결해 보겠다.
01. 일단 단축키 Ctrl+N으로 새 컴프를 만든다. Name은 ‘3D공간’, DV 사이즈에 Duration 10초의 컴프를 생성한다.
02. 이 컴프에 아래 그림과 같은 잔디 소스를 올려 놓았는데, 알파 값이 포함되어 있는 소스여야 한다.
03. 올려 놓은 잔디 소스를 단축키 Ctrl+Shift+C로 프리 컴프 시켜준다. 이때 Leave all attributes in ‘3D공간’을 체크해야 한다. 잔디 소스 자체를 수정할 것이므로 attributes를 이용해 컴프로 묶도록 하겠다.
04. 생성된 잔디 컴프에 들어가 그림과 같이 마스크를 만들어 주고, mask feather 값을 올려 양 사이드를 부드럽게 처리한다. 잔디 여러 개가 겹칠 경우 양 사이드가 잘려 있으면 표시가 나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부드럽게 처리해서 자연스럽게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05. 다시 '3D공간' 컴프로 돌아와 잔디의 위치를 아래로 내리고 사이즈도 적절히 조절해 준다.
06. NULL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Name을 grass로 바꿔준다. 그리고 잔디 레이어와 NULL 오브젝트 모두 3D 레이어를 체크해 준다.
07. 생성한 NULL 오브젝트에 Effect > Expression Controls > Slider Control 이펙트를 적용한다.
08. Slider Control 이펙트를 적용하여 단축키 Ctrl+D를 두 번 눌러 이펙트를 2개 더 복사하고, 그림과 같이 이펙트 Name을 각각 X, Y, Z로 해준다. 이때 꼭 대문자로 변경해 줘야 한다. 3D 레이어들을 랜덤하게 배치 시켜주는 역할을 할 것이다.
09. NULL 오브젝트가 아닌 잔디 레이어의 포지션 옵션에 Alt+클릭을 하여 익스프레션을 활성화 시키고, 아래 그림과 같이 입력해 준다. "grass" 부분은 NULL 오브젝트의 이름을 넣어 주면 되는데, 필자는 grass로 했기 때문에 grass로 표기했다.
10. 카메라를 생성하여 잔디 레이어를 단축키 Ctrl+D로 무수히 많이 복사해 준다.
11. 방금 NULL 오브젝트에 주었던 Slider Control 이펙트의 X와 Z의 옵션값을 올려준다. 그러면 무수한 잔디들이 X축과 Z축으로 벌어지며 배치된다. 옵션값을 올려보면 잔디들이 벌어지면서 빈 곳이 보이게 되는데, 그때는 잔디 레이어들을 더 많이 복사하면 된다. 랜덤한 값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디테일한 배치는 익스프레션을 적용하지 않은 새 잔디 레이어를 꺼내어 배치 시키면 된다.
12. 레이어들을 복사 시킨 후, 옵션값을 올려 아래 그림과 같이 배치를 하였다.
13. 이제 배경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다. 단축키 Ctrl+y로 솔리드를 생성하겠다. 이름은 ‘back’이라 하고, 크기는 컴프 사이즈로 만들어 보겠다.
14. 이 솔리드 레이어에 Effect > Generate > Ramp 이펙트를 적용시킨다.
15. 이펙트를 적용하고 아래와 같이 Start Color와 End Color를 바꿔주었다. 'back' 레이어를 선택하여 단축키 Ctrl+Shift+[로 'back' 솔리드를 제일 아래로 내려 준다.
16. 아래 그림과 같이 'back' 솔리드를 위치 시키고 구름 소스도 올려 놓았다. 구름 소스는 Z축으로 8000 정도 밀고 스케일을 키워준 것이다. 이유는 실제로 구름은 멀리 있기 때문에 카메라 이동 시 움직임을 미세하게 하기 위하여 멀리 밀어 준 것이다.
17. 아래 그림과 같이 text나 오브젝트를 위치시켜 준다. 그리고 각자의 카메라 워크에 맞춰서 배치한다.
18. 라이트를 생성하여 오브젝트들에 약간의 음영을 넣어 보겠다. 그림과 같이 Light Type은 Point로, Intensity는 100% 라이트를 생성해 준다. 라이트가 생성되면 라이트가 가까이 붙어 있는 오브젝트들은 검정색으로 보이게 된다. 라이트의 위치를 Z축으로 앞으로 충분히 빼줘서 검게 타는 부분이 없도록 해 준다.
19. 이제 전체적으로 색의 톤을 맞춰 보겠다. adjustment layer를 생성한 후, Effect > Color Correction > Hue/Saturation 이펙트를 적용하고, 아래와 같이 채도를 -30으로 해 준다.
20. 이 adjustment layer에 Effect > Color Correction > Curves 이펙트를 적용하여 아래와 같은 그래프 모양을 만든다. 밝은 부분은 더 밝게, 어두운 부분은 더 어둡게 해서 색상 대비가 뚜렷하도록 해 주었다.
21. 역시 마찬가지로 이 adjustment layer에 Effect > Color Correction > Photo Filter 이펙트를 적용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약간 Old한 느낌을 주었다.
22. 그림처럼 Lens Flare 계열의 이펙트를 적용해 빛 느낌도 넣어 주었다. 필자는 Optical Flares를 사용하였다.
23. 좀 더 사실적인 공간감을 구성하기 위하여 카메라의 심도를 사용해 보겠다. 카메라 옵션에서 Depth of Field를 On 시켜 준다.
24. 전 카메라의 Focus를 MG25 로고에 맞춰 볼 것이다. 원하는 레이어를 선택하여 TOP 뷰에서 보면 자신이 선택한 레이어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 위치에 맞게 Focus Distance 값을 조절해 준다. 그리고 조리개 값에 해당하는 Aperture 값도 적당히 조절해서 자신이 원하는 화면을 만든다.
25. 아래 그림은 Depth of Field를 적용시킨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