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 인공지능 이미지생성 이펙트
AI 기반의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툴. Local Diffusion
AE 인공지능 이미지생성 이펙트AI 기반의 인공지능 이미지 생성툴. Local Diffusion
After Effects Nebulosity Plugin Tutorlal
성운, 구름, 은하, 연기등을 볼륨메트릭으로 생성할 수 있는 AE 플러그인입니다. GPU 가속이 되어서 속도가 어느 정도 나오는 유용한 플러그인입니다. 다운받으실 수 있는 AE버전은 CC 2023 버전입니다. - ▶ Plugin Info : https://aescripts.com/nebulosity/ ▶ Download Projects : https://bit.ly/3OxBHaI - 영상에서 못다한 몇가지 이야기는 튜토리얼로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More Tutorial : https://bit.ly/3GU5iZS
After Effects Nebulosity Plugin Tutorlal성운, 구름, 은하, 연기등을 볼륨메트릭으로 생성할 수 있는 AE 플러그인입니다. GPU 가속이 되어서 속도가 어느 정도 나오는 유용한 플러그인입니다. 다운받으실 수 있는 AE버전은 CC 2023 버전입니다. - ▶ Plugin Info : https://aescripts.com/nebulosity/ ▶ Download Projects : https://bit.ly/3OxBHaI - 영상에서 못다한 몇가지 이야기는 튜토리얼로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More Tutorial : https://bit.ly/3GU5iZS
Shape Layer :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1
Shape Layer :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1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2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2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3
Shape Layer Repeater 방사형 애니메이션 03
Procreate에서 PSD 아웃풋할때 생기는 AE 오류 해결방법
Procreate에서 PSD 아웃풋할때 생기는 AE 오류 해결방법
NVIDIA CANVAS 프리뷰
NVIDIA CANVAS 프리뷰
Create_Of_Martian 조재현
Create_Of_Martian 조재현
Dojo Shifter Script Tutorial
Dojo Shifter Script Tutorial
Pose2Pose Script
Pose2Pose Script
The Best Tutorials for our FREE Nebula Assets
The Best Tutorials for our FREE Nebula Assets
Matte를 이용한 타이포 애니메이션
Matte를 이용한 타이포 애니메이션
Shape Layer의 Repeater와 Wiggle Transform 활용_파티클 만들기
Shape Layer의 Repeater와 Wiggle Transform 활용_파티클 만들기
Trapcode Particular 01
Trapcode Particular 01
Trapcode Particular 02
Trapcode Particular 02
Text로 화살표 애니메이션 만들기
Text로 화살표 애니메이션 만들기
방사형 Shape Layer 제작시 오류수정
방사형 Shape Layer 제작시 오류수정
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
【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입니다.
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Graph Editor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입니다.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을 하나 올려봅니다.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Keyframe Animation에 대한 이야기 】 요즘 워낙 좋은 스크립트들이 많이 나와서 예전처럼 밸류 그래프를 만질 일이 많이 없어졌긴 하지만, 유니크한 움직임이나 느낌있는 모션을 만들기 위해선 그래프의 조절은 필수이긴 합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히기 위해서 수업자료로 만든 것을 하나 올려봅니다.
2010년 말에 Magic Bullet Colorista II를 소개했었다. 이번 달에는 비슷해 보이긴 하지만 상당히 틀린 Magic Bullet Looks라는 이펙트를 소개하겠다. Magic Bullet Colorista II와는 달리 Magic Bullet Looks 이펙트는 컬러 보정과 다양한 효과를 디테일한 컨트롤로 조절할 수 있도록 별도의 윈도우가 있으며, 활용도에 따라 실무에서 짧은 시간에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이펙트이다.
1. Magic Bullet Looks 이펙트 알아보기
01. 이펙트의 구조는 상당히 심플하다. Edit 버튼을 누르면 Magic Bullet Looks를 실행할 수 있는 LooksBuilder 윈도우가 나타난다. 하단에 있는 Power Mask는 원하는 일정 부분만 Magic Bullet Looks를 적용하거나, 이펙트의 Before, After를 확인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02. 이펙트 창에서 Edit를 클릭하고, LooksBuilder 윈도우를 확인한다. 기본적인 구조는 상당히 시원시원하고 단순한 디자인 구조이다.
03. 우측 상단을 보면 버튼 2개가 있다. Graphs, Helps 두 개 모두를 클릭하여 On으로 만들어 보면, 그림처럼 이미지나 영상이 가지고 있는 RGB 그래프와 선택한 탭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좌측하단에 나온다.
04. 커서를 화면의 좌측으로 움직여서 좌측 끝부분에 다다르면, 슬라이드처럼 왼쪽에서 탭이 나온다. Looks라는 탭인데, 여기에는 다양한 프리셋들이 준비되어있다. 원하는 스타일의 썸네일을 클릭하기만 하면 원하는 스타일로 이미지나 영상을 손쉽게 만들 수 있다.
05. 이제 많은 분들이 사용하는 프리셋들 중 몇 가지를 원본과 비교해서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 다양한 Looks의 Presets
Basic Cool Max
Basic Grunge
Basic Warm
Yellowed Soft Edge
Hot Maddy
Color of Hell
Bistrocity
Miami
Warm and Fuzzy
Hot and Cold
Sunny Delite
Untitled Look
No85
Grad Sunset
06. 이제 커서를 오른쪽 사이드 맨 끝으로 이동시켜 본다. 거기에는 Tools라는 탭이 있다. 예전에는 이펙트 윈도우에서 이러한 탭이 익숙하지 않았는데, 이제 태블릿 PC 덕분에 이러한 사이드 탭이 많이 익숙해진 듯 하다. 여기에는 조명, 매트, 렌즈, 카메라, 그리고 색을 보정할 수 있는 기능들이 상단에 표시된 부분에 탭 형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2. Magic Bullet Looks 이펙트의 구조
01. 지금 보는 이미지는 Basic Warm 프리셋을 적용한 상태다. Magic Bullet Looks 이펙트를 알아보는 것은 간단하다. 현재 Subject에 Warm/Cool, Matte에 Diffusion, Camera에 Curve 값을 준 상태이며, 이것이 합쳐져서 바로 Basic Warm 프리셋이 된 것이다.
02. 자세히 보면 하단의 Subject, Matte, Lens, Camera, Post는 오른쪽의 탭이 나왔을 때 보여지는 것들과 동일하다. 자! 그럼 이제 해답이 나왔다. 오른쪽의 Tools 탭에 있는 것들을 각각 자신의 Part에 드래그해서 옮겨놓기만 하면 된다. 물론, 이름이 같은 곳에 넣어야 한다. 마치 초등학교나 유치원 때 했던 퀴즈 같은 느낌이 들어 약간 우습기도 하지만, 상당히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다. 현재 Lens 부분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다. 오른쪽 Tools 탭에 있는 Lens에서 Edge Softness를 드래그하여 하단의 위치에 옮겨놓는다.
03. 또한,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장점 중 하나는 바로 어떤 프로세스를 통해서 자신이 적용한 것들이 화면에서 어떻게 작용을 하는지를 좀 더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는 것이다. 하단을 보면 각 Subject, Matte, Lens, Camera, Post 이름 위에 아이콘들이 있다. 이 아이콘들을 보면 카메라의 어떤 부분에 영향을 주고, 또한 그것들이 어떻게 화면을 변화시키는지를 미리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앞서 Edge Softness를 Lens 부분에 올려놓았다. 하단의 Lens 파트의 아이콘을 살펴보면 카메라의 어느 부분인지를 알 수 있다. 이미지를 확인해 보면 노란색의 원형 점선 라인이 보인다. 이 부분이 포커스가 맞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될 것이다. 현재 이미지에는 없지만 점선 라인 외곽에 노란색의 라인이 하나 더 있다. 이것은 전체 렌즈의 Radius 값을 조절하는 것이다. 화면 상에서 커서로 원들의 사이즈는 조절할 수 있으며, 좀 더 디테일한 움직임을 원한다면, 화면 우측 하단에 수치 값들을 입력 또는 마우스의 좌우 이동으로 조절을 할 수 있다.
04. Post 부분을 보면 마치 조리개처럼 생긴 큰 아이콘이 있다. Exposure로 노출에 영향을 주는 이펙트이다. 수치 값을 올리면 밝아지고, 수치 값을 내리면 어두워진다. 왜 그런지에 대해서는 앞서 이야기한 Exposure 아이콘을 보면 바로 그 해답이 나온다. 수치 값을 올리면 조리개가 많이 열려서 그 만큼 빛을 많이 받아들인 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05. 이번엔 다른 효과들을 모두 삭제하고, Object에 Spot Fill 효과만 적용을 해 보겠다. Spot Fill은 일정 부분만 스포트라이트가 비춘 것처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오른쪽 하단의 Fill 값을 조절하여 밝기를 변화시키면 앞서 Exposure 아이콘이 변한 것처럼 Spot Fill의 사람 아이콘에 직접적으로 모양이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또 한가지 알아야 할 것이 있다. 모든 아이콘들 위를 보면 공통적으로 아주 작은 빨간 LED 같은 것이 있다. 이것이 바로 On, Off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기본 값은 On이다. 클릭하면 Off가 되면서 빨간 불이 꺼진다. 효과를 주기 전과 후를 비교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06. 하나의 파트에 여러 개의 효과를 중복해서 넣을 수 있는데, 오른쪽의 Tools에 있는 모든 것을 한꺼번에 넣을 수 있다. Subject에 Curves를 적용시켜 보겠다. 오른쪽을 보면 수치를 입력할 수도 있지만, 직접 마우스로 커브를 조절하면서 전체적인 톤을 조절할 수도 있다.
07. 이렇듯 기존의 프리셋을 적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하나하나 사용자가 추가하면서 만들어나가는 재미도 있다.
08. 어떤 효과는 오른쪽 하단에서 조절하는 것도 있으며, 어떤 것들은 화면상에서 직접 조절하는 방법도 있다.
09. 컬러의 미세한 조정 같은 경우, 직접적으로 이미지가 변화되는 것을 보면서 조절하기 때문에 미세한 변화도 놓치지 않고 원하는 컬러 값을 얻을 수 있다.
10. 마치 분판 인쇄 시 어긋난 것처럼 RGB 값이 보여지는 효과 등은 Post 부분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