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IPT무료 Script지만, 강력한 Anti-Static ToolBox Script

motionlab
조회수 1762


1. 설치하기


01. Effect나 Preset 등을 판매하는 AEjuice 사이트(https://aejuice.com/)에 들어가면, 무료 플러그인 페이지(https://aejuice.com/free-plugins/)가 있습니다. 여기에서 AEjuice Pack Manager 4를 다운받아서 설치하면 됩니다.



02. 설치 후에 AEJuice Pack Manager 4를 Window 메뉴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03. 맨 처음 프로젝트에 그림과 같이 Analog Glitch Preset이 자동으로 열립니다.



04. 모두 설치하면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아마도 로큰롤을 좋아하는 개발자가 있는 듯합니다.



05. 세상에 완전한 공짜는 없습니다. 공짜를 이렇게 퍼주는 것은 이 회사가 가지고 있는 어마어마한 양의 플러그인들과 Preset들을 홍보하기 위한 마케팅의 일환이라는 것을 바로 깨달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무료로 주는 것들의 퀄리티가 뛰어나서 이렇게 소개해드립니다.


06. 유료 팩들을 보고 싶다면 마우스 커서를 원하는 팩에 올려놓으면 바로 옆에서 프리뷰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


07. 무료로 주는 팩을 클릭해서 다운로드 받으면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설치된 Preset들은 더블 클릭하여 Composition에 추가하면 됩니다.


각 소스들은 용량이 꽤나 큰 동영상 소스들도 있어서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Slides-Beginner


NeonMind AI


Sound Effects Free 같은 경우는 꽤나 많은 효과음들이 있습니다. 아마도 영상을 제작할 때, 효과음을 구하느라 고생했을 분들에게는 반가운 무료 소스들입니다.

Free Lens Textures


Free Muzzle Flashes


Expressions Pack - 은근히 재미나는 익스프레션들이 있습니다. 확인 해보세요. 


2.5D Devices Collection


08. Anti-Static ToolBox만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고 싶은 분들은 페이지의 하단에 있는 Anti-Static Toolbox만 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


Anti-Static ToolBox 만 DOWNLOAD ----- https://github.com/Anti-Static/ASToolbox

AEJuice Pack Manager 4 DOWNLOAD ----- https://aejuice.com/product/anti-static-toolbox/



09. 다운로드 받으면 그림처럼 보입니다.



2. Anti-Static ToolBox Timeline


01. Anti-Static ToolBox Script는 총 4개의 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02. Timeline에 있는 기능들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일단, 여러 개의 Layer들을 그림처럼 배치합니다. 전체 Layer들을 선택하고, 원하는 프레임을 10 프레임으로 입력한 다음에 Randomize in Points를 클릭합니다. 그림처럼 랜덤하게 각 Layer들의 In Points가 재배치되었습니다.


03. 이번에는 전체 Layer를 선택하고 In Points를 10 프레임으로 설정한 다음, Stagger In Points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림처럼 계단 모양으로 Layer가 배치됩니다.



04. Fade In/Out은 선택한 Layer의 첫 부분과 끝부분에 Fade In/Out 키프레임을 자동으로 만들어줍니다.


05. Loop Keyframes는 선택한 키프레임에 Loop Expression을 적용시켜줍니다. 옵션은 PingPong, Cycle, Offset, Continue 총 4개가 있습니다.


06. Loop Composition은 Comp Layer였을 경우에 Looping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일단, 간단한 Motion을 하나 적용한 A라는 Composition을 만듭니다.


07. A라는 Composition을 다른 Composition에 등록합니다. Composition Layer를 선택한 다음에 Loop Composition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실 이 기능은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Time Remap을 조금 편리하게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Layer Bar를 원하는 만큼 늘려서 사용해도 됩니다.


08. Layer를 하나 선택한 다음, Duplicate Layers를 선택하면 원하는 개수만큼 생성됩니다.


09. Randomize Layer Order는 선택한 Layer들을 Timeline Window 안에서 랜덤하게 섞어서 재배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10. Label Mate는 Layer의 라벨에 따라서 매칭을 시켜주는 조금 특이한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오렌지색 라벨을 가지고 있는 6개의 Layer와 빨간색 라벨을 가지고 있는 6개의 Layer가 있습니다. 이 Layer들을 선택하고 Label Mate를 적용하면 Parent와 To에 적용된 컬러처럼 자동으로 오렌지색 라벨의 Layer들이 그림처럼 포지션이 바뀌게 됩니다. 물론, Reposition을 체크해야 합니다.


11. Zebra Deselect는 Layers to skip의 숫자만큼 Layer들을 스킵하면서 선택해줍니다. 전체 Layer를 선택한 다음에 Zebra Deselect를 클릭하면 됩니다.



3. Anti-Static ToolBox Canvas


01.이번에는 Canvas 탭에 있는 메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Layer들을 배치합니다.


02. 배치된 Layer들을 모두 선택한 상태에서 X축만 체크하고 Center Positions를 클릭하면, 각 줄에 있는 것들이 그림처럼 보입니다. Y축도 마찬가지입니다. 3D Layer를 체크한 다음에 Z축을 체크하고 작업도 해보기 바랍니다.


03. 이번에는 Randomize Positions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정렬된 모든 Layer들을 선택한 다음, X, Y축을 각각 50으로 입력하고 실행하면 랜덤하게 위치 값이 이동됩니다.


04. Stagger Positions는 Layer들의 열과 행을 간격 조절하여 재배치시켜줍니다.


05. Radial Position은 Layer들을 원형으로 배치시켜줍니다. Rotation을 체크해주면 박스가 원의 정중앙을 중심으로 회전합니다.



06. Composition Window에 아무 것도 없는 상태에서 박스를 하나만 만듭니다. 하나의 박스 Layer를 선택한 다음 Duplicate를 체크하고, Number를 입력한 다음에 원의 크기인 Rad 부분을 정해주면 그림처럼 자동으로 Layer가 복제되면서 만들어집니다.


07. Grid Positions는 Grid 모양으로 Layer들을 배치합니다. 여러 개의 Layer를 선택한 후에 실행해도 되고, 하나의 Layer를 선택한 다음에 Duplicate를 체크하고 난 후에 실행해도 됩니다.


08. 만약, 그림처럼 Grid 형태의 배치가 원형 배치로 바뀌는 애니메이션을 하려면, 0초에 키프레임을 생성하고 타임 마커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킵니다.


09. 그런 다음에 Radial Position 버튼을 클릭하면 그림처럼 키프레임들이 생성됩니다. 애니메이션을 시켜보면 Grid 모양에서 원형으로 바뀌는 애니메이션이 만들어집니다.


10. Grid Move는 Grid에 맞게 움직임을 준다는 이야기입니다. Distance에 원하는 픽셀 값을 입력하는 만큼 이동하게 됩니다. V는 Vertical로 수직으로 이동하고, H는 Horizontal로 수평으로 이동합니다. 그 외에 4, 8로 옵션을 바꿔서 작업해보기 바랍니다.


11. Layer들을 모두 선택한 다음에 Randomizer 버튼을 누르면 그림처럼 보여집니다. 누르기 전에 Scale, Rotation, Opacity를 체크하고, Min과 Max의 수치를 입력하면 3개의 속성이 랜덤하게 바뀌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4. Anti-Static ToolBox Utils


01. Grid 모양으로 여러 개의 박스 모양 Layer들을 배치합니다. 모든 Layer를 선택한 후에 Effector를 클릭합니다. 이때, Position 부분만 체크합니다.


02. 빨간색의 Effector가 생성되며, 이것을 움직일 수 있는 Null Layer도 함께 생성됩니다. Null Layer를 움직여서 애니메이션을 시켜보면 그림처럼 재미난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렌더를 하시면 빨간 색으로 보여지는 Effector는 Guide Layer이기 때문에 보여지지 않습니다. 


Position, Scale, Rotation, Opacity를 모두 체크한 후에 적용하시면 이렇게 됩니다. 



03. Null Layer를 선택하면 여기에 다양한 Expression Effect들이 있습니다. Expression Effect는 작업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Layer에 적용된 Expression을 Effect Controls와 연결해 놓은 것입니다. Effector의 사이즈 및 적용되는 범위나 강도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04. Stringer는 Layer와 Layer를 이어주기도 하고, 아무 것도 없는 상태에서 클릭하면 그림처럼 라인이 그려집니다. 현재 Points가 5로 입력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라인의 각 Point가 Null 오브젝트와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05. 다시 해보겠습니다. 아무 것도 없는 상태에서 Bezier를 체크한 다음에 Stringer를 실행시켜 봅니다. Composition Window를 확인해보면 각 Point에 Layer가 하나 더 생겼습니다. 작은 Null Layer를 움직여서 곡선을 만들어줘도 좋을 듯합니다.


06. Text Greebler는 랜덤하게 바뀌는 Typo나 숫자를 쓰기에 적절한 기능입니다.


07. Property Manager는 Layer들 중에서 원하는 Layer들을 선택하고, 그 중에서 원하는 속성 값을 선택하여 실행하면 Null Layer가 새롭게 생성됩니다. 여기에는 선택한 Layer들을 한 번에 컨트롤할 수 있는 Effect가 생겨납니다.


08. Wiggle Manager는 선택한 Layer들의 속성값에 Wiggle을 적용시키고, 전체를 컨트롤할 수 있는 Null Layer를 자동으로 만들어줍니다.


09. Palette Manager는 Color 값을 편하게 컨트롤하게 만들어줍니다. 다른 것들과 사용법은 비슷합니다. 원하는 Layer들을 모두 선택한 다음, Color 속성 값을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에 Palette Manager를 클릭하면 됩니다. 다양한 Color 값들을 랜덤하게 주거나 애니메이션시킬 수 있도록 총 10개의 Color Effect가 Null Layer에 생겨납니다.


10. Glitch Matte는 많은 분들이 좋아할 만한 기능입니다.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Glitch 스타일의 느낌을 빠르게 만들어줍니다.


11. Fractal Noise Effect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만든 Glitch 느낌이지만 상당히 멋지게 표현됩니다.




12. Vignette 효과는 말그대로 주변을 어둡게 만들어주는 효과로, 간단하게 Mask를 이용해 표현해주는 효과입니다.



5. 응용하기


01. 앞서 Effector를 적용하는 것처럼 적용합니다. 그런 다음에 Layer 하나에 Fast Box Blur Effect를 적용합니다. Effect의 속성에 있는 Blur Radius의 스탑 워치를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클릭하여 Expression 창을 활성화시킵니다. 그런 다음에 Whip을 이용하여 Aux Slider1의 Slider와 연결합니다. 이렇게 하면 Slider의 값이 변할 때, Blur Radius의 값도 함께 바뀌게 됩니다.


02. 애니메이션을 시켜보겠습니다. 빨간색 오브젝트가 움직여서 사각형에 가깝게 다가갈수록 Blur Effect의 값도 커지기 때문에 흐려지게 됩니다. 이처럼 Anti-Static ToolBox에 있는 효과들을 다양하게 응용해 보기 바랍니다.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