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ENSION빛에 따라 자동으로 움직이는 그림자를 만들어주는 Dynamic Shadow2 Extension

motionlab
조회수 954


Shadow 이펙트는 일반적으로 이미지의 뒤편에 이미지와 같은 형태의 Layer를 어둡고 흐릿하게 보여주는 역할을 하며, 평면적인 느낌에서 약간 입체적인 느낌이 나게 만들어줍니다. 문제는 Light가 움직일 때, 그림자가 함께 움직여줘야 하는데, 그것이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 이번에 나온 Dynamic Shadow2 Extension은 그러한 불편함을 덜어주는 기능을 가졌습니다.


1. Dynamic Shadow2


01. 농구공 png 이미지를 불러왔습니다. 농구공의 그림자를 만들어보겠습니다.



02. 크게 분류하여 3D Shadow와 Visual Shadow로 나뉘게 됩니다. 3D Shadow는 이미지의 그림자를 바닥에 나타나도록 만드는 일반적인 그림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Visual Shadow는 공간 상에서 빛을 발하는 물체가 있을 경우, 주변의 Layer들이 빛의 영향을 받아서 Highlight와 그림자가 생성되는 분위기를 연출해주는 옵션입니다.



03. 먼저, 3D Shadow와 바로 밑에 있는 Shadow 옵션을 2개 선택합니다. 농구공을 선택한 다음, Dynamic Shadow2 옵션에서 표시된 부분을 클릭하면, Layer의 이름이 표기됩니다. 이제 Apply 버튼을 클릭합니다.



04. 이렇게 작업을 하면, 옵션을 조절해도 지금처럼 그림자 부분이 농구공이 가지고 있는 영역 안에서만 보이게 될 것입니다. Bitmap 이미지를 불러와서 적용하는 모든 경우에 해당됩니다. 이렇게 작업하면 제대로 된 적용이 안됩니다.



05.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바로 Pre-Comp를 만들어야 합니다. 농구공 이미지를 선택한 후에 그림처럼 Pre-Comp로 만들어줍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농구공이 가지고 있는 영역을 Composition 크기만큼 키워 주기 위해서 입니다. 좀 더 정확한 설명은 Layer가 가지고 있는 Transform 속성 이후에 Effects를 적용하기 위해서 입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Layer는 Mask > Effects > Transform 순서대로 적용됩니다. 이 순서는 몇 십년 동안 절대 바뀌지 않은 After Effects의 원칙입니다. 그런데 작업을 하다 보면, Transform 다음에 Effects가 적용되어야 하는 경우들이 생깁니다. 바로 그러한 경우가 지금과 같은 경우입니다. 이러한 부분을 해결해주는 것이 소위 해님 효과라고 불리는 것입니다. 정확한 명칭은 2가지입니다. Comp Layer였을 경우는 Collapse Transformation, Vector Layer였을 경우는 Continuously Rasterize입니다.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당연히 Collapse Transformation입니다.



06. 앞서 작업한 것처럼 Pre-Comp된 농구공 Layer에 Dynamic Shadow2를 적용시키면, 그림처럼 상당히 많은 이펙트가 적용됩니다. 사실 상단에 있는 Layer들의 옵션이 거의 대부분 맨 마지막에 있는 DS_Customize 이펙트에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이 부분만 신경 써서 조절하면 됩니다.



07. Dynamic Shadow2를 적용하면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이 바로 DS_Customize 옵션에 있는 Shadow Point의 설정입니다. 왜냐하면, 그림자가 안보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화면 밖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어서 보이지 않습니다. 아마 처음 적용하는 분들은 적용 후에 당황할 수도 있습니다. 적용을 했는데도 그림자가 안보이기 때문입니다. 바로 Shadow Point를 조절하여 그림자를 화면 안에 보이도록 옮겨줘야 합니다.



08. 이제 공이 튕기는 Animation을 만들어보겠습니다. Position을 Separate Dimension하여 XY축을 분리합니다.



09. 간단하게 Y축 포지션 값만 Keyframe을 만들어서 Animation을 만들고 확인해보기 바랍니다.



10. 농구공이 아래로 내려오면 자동으로 그림자가 실시간으로 바뀌게 됩니다.









2. Peak Point


01. Peak Point는 그림자의 어두운 부분들 중에서 중심에 있는 가장 어두운 부분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옵션입니다. 가로, 세로의 사이즈 및 Blur의 강도와 X축으로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나머지 옵션들은 하나씩 조절해보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3. Reflect
01. 이번에는 3D Shadow + Reflect를 설정하고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작업과 동일하게 농구공 Pre-Comp Layer를 가져와서 선택합니다. 그리고 Apply 버튼을 누릅니다.



02. DS_Customize의 Reflect Point 값을 조절하여 화면 안에 보이도록 합니다.



03. 농구공의 위치를 하단으로 내리면, 그림처럼 그림자가 아닌 농구공 Layer가 그림자처럼 컬러로 보일 것입니다.



04. 옵션을 조절하여 정말 반사된 것처럼 만들고 싶다면, 그림처럼 옵션을 변경해보기 바랍니다.



※ Vector 파일로 작업을 한다면, 굳이 Pre-Comp로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Shape Layer로 작업을 한다면, Layer에 곧바로 적용하면 됩니다. 그러면 그림처럼 Dynamic Shadow가 제대로 적용됩니다. 쉽게 말해서 Layer가 Timeline Window에 있을 때, 해님 모양의 아이콘이 켜져 있어야만 적용이 가능합니다.




4. Visual Shadow


01. 이번에는 Visual Shadow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재 큰 원과 작은 원, 그리고 파란색 Light라는 작은 원 Layer를 Composition Window에 배치하고 Visual Shadow를 선택합니다. Composition Window에서 큰 원과 작은 원 Layer 2개를 선택한 다음, Select Object 부분을 클릭해줍니다.



02. 클릭하면 방금 선택한 Layer의 Index 넘버가 보입니다. Light Layer를 선택한 다음, Select Sun Layer를 클릭하여 등록합니다. Index는 Layer의 옆에 있는 #으로 되어 있는 부분의 숫자입니다. Layer의 이름은 사용자가 바꿀 수 있어도 Index는 절대 바꾸지 못합니다.



03. Apply 버튼을 클릭하면, 그림처럼 상당히 많은 수의 Layer들이 만들어집니다. 새로 생긴 CTR Layer를 클릭하면, 큰 원과 작은 원에 적용된 이펙트들이 모두 나타납니다.



04. Light Layer를 움직이면, 큰 원과 작은 원 Layer가 Light Layer에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05. Light Layer에 반응을 하는 Layer들의 Highlight 또는 어두운 부분을 좀 더 부드럽게 만들려면, Light Type을 Range로 바꾸면 됩니다.







06. Light Type을 Range로 바꾸게 되면 다른 Layer들의 빛은 영향을 어떻게 받게 되겠습니까? Light effect opacity 값을 올려서 시각적으로 확인해보면 됩니다. 만약, 시각적으로 빛을 보여주고 싶다면, 이 옵션을 조절하면 됩니다.



07. Light type을 Radial로 하면, 360도로 빛을 발하는 상태가 됩니다. 바로 이 옵션이 기본값입니다.



실제로 사용해보면 알 수 있겠지만, Dynamic Shadow를 3D Shadow로 적용하면 웬만한 컴퓨터에서는 문제없이 돌아갑니다. 하지만, Visual Shadow같은 경우에는 빛이 적용되는 Layer들이 많아지면 컴퓨터가 다소 버벅대는 것을 느낄 것입니다. Visual Shadow 옵션으로 작업을 하면, 빛의 적용을 받는 Layer가 5개라고 한다면 적어도 Layer가 20개로 늘어나게 됩니다. 이는 효과를 적용시키기 위해 생성되는 Layer 때문입니다. 그래서 Visual Shadow 옵션으로 작업할 때는 유념하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