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IONChat GPT와 Bard를 활용한 AE Expression 만들기

motionlab
조회수 4202


MS의 Chat GPT와 얼마전 새롭게 등장한 구글의 Bard로 After Effects의 Expression을 만들어보라고 명령하면 어떨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직 완벽하진 않지만 무서울 정도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레이어가 다가오면 크기가 커지는 것을 애프터 이펙트의 익스프레션으로 만들어줘"

이렇게 명령을 내렸더니 Chat GTP 초기에는 이렇게 심플하게 만들어줬습니다.  

명령을 한글로 하셔도 되고, 영문으로 번역한 후에 작업하셔도 됩니다.  


사실 명령어를 제대로 입력하는 만큼 좀 더 정확한 답이 나오긴 합니다.  

좀 더 다양한 명령들을 해본 다음에 다시 후기를 적어보겠습니다. 


 

현재 컴포지션의 이름과 어떤 레이어가 다가오는 레이어인지 모르기때문에 TEST SIZE2 라는 컴포지션의 이름과 RED 라는 레이어의 이름은 직접 바꿔서 적어주었습니다. 


d = length(thisLayer.transform.position - comp("TEST SIZE2").layer("RED").transform.position);

s = ease(d, 0, 500, 100, 200);

[s, s];





레이어가 가깝게 다가오면 사이즈가 커지는 것으로 하고 싶었는데, 아무래도 명령을 잘 못 내렸는지...아니면 잘 못 알아들었는지 이렇게 되었네요. 

그래서 약간 Expression을 바꿔보았습니다. 


d = length(thisLayer.transform.position - comp("TEST SIZE2").layer("RED").transform.position);

s = ease(d, 0, 500, 200, 100);  // 기본 사이즈 값이 100 , RED레이어가 다가와서 사이즈가 커질 때의 값이 200 

[s, s];




이렇게 바꿔준 다음에 다시 애니메이션을 시켜보면, 이렇게 보여집니다. 





AA 흰색 박스 레이어를 복제하여 일렬로 세워놓고 애니메이션을 하면 이런 애니메이션도 가능합니다. 




시간이 지난 다음에 다시 같은 명령을 내렸지만 보시는 것처럼 답변이 틀려졌습니다.  




같은 명령을 Bard에도 해보았습니다. 물론, 답변은 비슷하지만 약간씩 틀린 답안이 나왔습니다. 






만약 투명도에 적용한다면 이렇게 되겠네요. 


d = length(thisLayer.transform.position - comp("TEST OPACITY").layer("POINT").transform.position);

s = ease(d, 0, 500, 100, 0);

[s];  // 투명도는 입력값이 하나이기 때문에 이렇게 바꾸었습니다.  


POINT라는 이름의 레이어가 가깝게 다가오면 투명도가 0에서 100으로 바뀌는 Expression입니다.  

이 스크립트를 이번에는 레이어의 Opacity에 적용하시면 됩니다. 





아직은 불안정하거나 완벽하진 않지만 보시는 것처럼 하루가 다르게 진화하고 있는 인공지능을 보면서 

개발자나 디자이너가 AI로 교체되고 안되고를 떠나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디자이너와 그렇지 못한 디자이너와의 차이가 커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