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IPT레이어를 복제 및 정렬, 상호 반응하게 만드는 React2 Script

motionlab
조회수 88


C4D의 MoGraph처럼 개체를 복제하거나 정렬 및 이펙트 효과로 애니메이션까지 할 수 있는 React 2 Script를 소개하겠습니다. Shape Layer의 Repeater는 복제를 하지만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허상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React 2는 실제로 Layer들을 만들어 보여준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 한가지 큰 차이점은 Bitmap Image도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1. React 2 Script

01. React 2 Script는 세로와 가로 및 사이즈에 따라서 인터렉티브하게 U.I가 조절됩니다.


02. 여기에서는 Composition Window의 하단에 위치시키고 작업해보겠습니다. 맨 왼쪽의 비어 있는 검은 공간은 React Text Input Box라고 하는데, 여기에 가로, 세로 수치 값을 입력하면 정렬된 Grid 모양의 Layer들이 생성됩니다. 가로로 되어져 있는 버튼은 Linear 버튼이며, 가로로 Layer들을 복제 및 정렬해줍니다. Grid 버튼은 바둑판처럼 Layer들을 복제 및 정렬시켜 줍니다. Radial 버튼은 원형으로 복제 및 정렬을 시켜줍니다. Effector 버튼은 정렬된 Layer들에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Tracer 버튼은 선택한 Layer들을 라인으로 이어줍니다. Refresh 버튼은 명령을 새롭게 적용할 때 도움을 줍니다. Delete 버튼은 Expression으로 된 명령을 Keyframe으로 바꿔주거나 기존 Expression을 삭제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03. 오른쪽 맨 끝에 있는 버튼은 Setting 버튼이며 기본적인 셋팅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선형, 그리드형, 원형으로 정렬 시, 원하는 기본 수치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Layer 하나를 선택한 다음, Linear 버튼을 클릭해보았습니다.


04. 가로로 여러 개가 정렬된 상태로 생성되었습니다. 이때 Timeline Window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복제된 Layer들을 총괄하는 Null Layer(React - Repeater 1)가 만들어집니다. 복제된 Layer들의 이름 앞에는 하위 개념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기호가 생겨납니다.


05. Grid Repeater는 가로와 세로의 개수를 설정하여 바둑판처럼 정렬시켜줍니다. Timeline Window의 상단에 있는 React - Grid Layer를 선택하면 이펙트 창에 다양한 옵션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Layer들 간의 가로, 세로 공간도 조절할 수 있고 가로, 세로의 Layer들의 개수도 다시 조절할 수 있습니다.


06. Honeycomb 옵션은 정렬된 Layer들을 벌집 모양처럼 만들어줍니다.


07. Radial Repeater는 Layer를 원형으로 배치합니다.



08. React - Radial Layer에서 Amount 값을 5개에서 12개로 입력하고 Refresh 버튼을 클릭하면, 명령이 새롭게 바뀌어서 적용됩니다.




2. Multi Layer에 Effector 적용


01. 이번에는 서로 다른 3개의 Layer를 선택한 다음에 Grid Repeater를 적용합니다.


02. 이제 복제된 Layer들에 Effector를 적용하겠습니다. 복제된 Layer 중에서 아무거나 하나만 선택하고 Effector를 주고자 하는 Scale 속성을 선택합니다. 복제된 전체 Layer들이 아닌 하나의 Layer에 있는 속성만 선택하면 됩니다. 그런 다음에 Add Effector 버튼을 클릭합니다.


03. 새롭게 생겨난 React - Effector Layer를 선택하고 이펙트 창에서 Shape을 Circle로 선택하면, Composition Window에 2개의 원이 보일 것입니다. React - Effector | Scale 이펙트에서 Scale을 40으로 입력합니다. Scale을 40으로 입력했다는 것은 커지는 사이즈가 140%가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Uniform Scale을 체크하면 X, Y, Z축 중에 아무거나 하나만 조절해도 모든 축이 같게 변합니다.


04. Composition Window에서 원을 움직여 보면 인터렉티브한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습니다.


05. Shape의 모양을 박스형이나 라인형으로 바꿔줄 수 있는데, 라인형은 회전시켜서 사선으로 작업할 수도 있습니다.




06. 이번에는 2개의 속성에 Effector를 적용해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복제된 Layer의 Scale과 Opacity 속성을 선택하고 Add Effector를 클릭합니다.



07. 스케일과 투명도의 값을 조절한 후, Circle로 바꿔서 움직여보면 됩니다.




08. 포지션 속성을 선택한 후에 Effector를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보일 것입니다.


09. 애니메이션을 확인해보기 바랍니다.





3. Color에 Effector 적용


01. 이번에는 Layer에 Fill Effects를 적용합니다.



02. Fill 이펙트의 Color 속성을 선택한 다음에 Add Effector 버튼을 클릭합니다.


03. Color 모드는 총 3가지입니다. 아래 그림은 Single Color 모드입니다.


04. HSL 모드입니다.



05. Multiple Color 모드는 상당히 많은 개수의 Color를 지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Color로 바꿔 줄 수 있습니다. 체크한 Color들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4. Tracer 적용


01. Layer가 없는 상태에서 Grid Repeater 버튼을 클릭하고 Timeline Window를 확인하면, Null Layer들이 복제되어 있을 것입니다.



02. 그런 다음에 React - Repeater 1 Layer를 선택하고 Tracer 버튼을 클릭합니다.


03. Null Layer의 눈을 끄면 라인들만 보일 것입니다.



04. Layer 중에 하나의 포지션 속성을 클릭하고 Add Effector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런 다음에 X, Y축 값을 40으로 각각 입력합니다.



05. 애니메이션을 시켜보면 Effector의 움직임에 따라 X, Y축으로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6. Tracer는 3종류가 있는데, Grid, Snake, Zig-Zag입니다. 모양이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해보겠습니다.



5. Effector 적용하고 Multi Effector 적용


01. Layer 3개를 선택한 다음, React Script의 맨 앞에 있는 검은 입력창에 5 4를 입력합니다. 가로 5개, 세로 4개라는 명령입니다. 그런 다음에 Grid Repeater 버튼을 클릭합니다. 여기에 Scale 속성을 선택하고 Add Effector 버튼을 클릭하여 적용합니다.



02. 이미 앞서 작업한 React - Effector 1 | Scale Layer가 있습니다.



03. 여기에 Opacity를 추가해보겠습니다. React - Effector 1 | Scale Layer를 선택하고 추가할 Opacity 속성을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에 Refresh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그림처럼 React - Effector 1 | Scale Layer에 2개의 속성을 컨트롤할 수 있게 적용됩니다.


04. 스케일은 50, 투명도는 -80으로 입력하고 Circle을 움직여 보기 바랍니다.




6. Type에 적용


01. Type Tool로 MOTION IS EVERYWHERE 입력하고 가로 6개, 세로 4개로 입력한 후, Grid Repeater 버튼을 클릭합니다.


02. Repeater Base는 총 4가지로, Letter, Letter(excluding space), Words, Lines가 있습니다.



7. 이미지에 적용


01. 3개의 이미지(오겜 캐릭터) Layer를 불러들입니다. 가로 5개, 세로 3개를 입력하고 Grid Repeater를 클릭합니다.



02. 복제된 Layer에 CC Color Offset 이펙트를 적용하고, 여기에 Green Phase, Blue Phase 속성과 Scale을 선택하고 Add effector를 적용해보겠습니다.



03. 그림처럼 이펙트 창에서 옵션을 조절하고 Circle을 움직여봅니다.


04. 왼쪽 하단에서 오른쪽 상단으로 Keyframe 애니메이션을 해보겠습니다.




05. Refresh 옆에 있는 ⓧ 버튼은 조심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Keyframe 애니메이션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 버튼을 누르면 Expression으로 되어 있는 것들을 Bake시켜줘서 Keyframe으로 바꿔주는 기능을 합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기능은 모든 React Script로 적용된 Expression들을 삭제해주는 기능을 합니다. Current frame only는 애니메이션이 안된 상태에서 현재 프레임만 적용해서 삭제해줍니다. Process every frame은 모든 프레임의 Expression들을 Keyframe으로 Convert해줍니다. 하지만, 이 버튼을 눌렀다가 무한 로딩 또는 PC가 멈추는 경험을 몇 번 했기 때문에, 권장해드리고 싶지 않습니다.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