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TORIALLogo Reveal Animation

motionlab
조회수 3355

이병현 (MG25.COM + MOTIONLAB.CO.KR 대표, Motion Designer, Instructor) 


Motion Graphic 작업에서 항상 빠짐없이 들어가는 것이 Typo나 Logo의 생성 및 소멸입니다. 짧은 순간이지만, 이런 부분의 디테일이 퀄리티를 좌우한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수많은 영상에서 사용되는 Glossy한 느낌의 스타일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워낙 다양한 스타일의 레퍼런스들이 많은데, 이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부분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기본적인 원리만 정확히 파악하고 있으면, 응용은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미리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Logo나 Typo에 아래 그림과 같은 Glossy한 느낌을 잠깐 보여주면서 생성되는 Animation을 만들어 볼 생각입니다.




1. Bump Map 만들기
01. Logo를 하나 불러들입니다. 물론, 배경이 투명한 png 파일이나 Illustrator 파일을 불러들입니다. 아래 그림은 Illustrator 파일입니다.



02. Logo에 Gradation을 살짝 적용해봤습니다. 이 Composition의 이름을 Logo로 입력합니다.



03. 이번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2가지 작업 중에 하나인 Bump용으로 사용될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새로운 Composition을 하나 만듭니다. Logo Bump라고 이름을 입력한 다음, 앞서 작업한 Logo Composition을 불러들입니다. 불러들인 Composition에 Fill Effect와 Bevel Alpha Effect를 차례로 적용합니다. 일단, 가장 기본적인 Bump용 작업은 끝났습니다. 생각보다 쉽습니다. 물론, 뒷부분에서 Bump용을 어떤 식으로 바꿔서 적용하느냐에 따라서 Output이 달라지는 것을 다시 이야기하겠습니다.




2. 반사용으로 사용될 Comp 만들기
01. 이제 마지막으로 반사용 이미지를 만들어보겠습니다. 시작한지 얼마 안 되었는데 벌써 마지막이라고 하니까 황당할 겁니다. 반사 Map은 말 그대로 물체에 은은하게 반사되는 느낌이나 Glossy한 느낌을 표현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아래 이미지가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반사용 이미지입니다.



02. ‘반사그레이’라는 Composition을 만듭니다. 여기에 이미지를 올려놓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Animation을 만들어봅니다.



03. 이제 최종적으로 작업할 Reflection이라는 Composition을 만든 다음에 앞서 만든 Composition들을 모두 불러들입니다. Composition Window를 보면 아마 이렇게 보일 겁니다.



04. 반사그레이는 Logo의 형태 안에서 보일 것이므로 Alpha Matte를 적용합니다. 그림처럼 Track Matte의 Pick Whip으로 드래그만 해주면 됩니다. Logo Bump Composition Layer의 눈은 끕니다.



05. 반사그레이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Animation을 만들었으니까 아마 이렇게 보일 것입니다.



06. 이제 입체적으로 Glossy한 느낌을 주기 위한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반사그레이 Composition Layer에 CC Glass Effect를 적용합니다. CC Glass Effect는 유리 질감처럼 만들어주는 효과를 냅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Surface / Bump Map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앞서 만들어서 눈을 끈 상태인 Logo Bump Composition Layer를 선택합니다.



07. 이제 간단하게 Animation을 해보면, 그림처럼 어느 정도 Glossy한 작업이 완성되었습니다. 앞서 반사 Map이 직사각형 형태이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된 Animation이었습니다. 그래서 첫 장면을 보면, Logo가 일직선으로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별로 자연스러워 보이지도 않고 예쁘지도 않습니다. 이 부분은 뒷부분에서 손을 보겠습니다.



08. 여기에 CC Blobbylize Effect를 추가합니다. CC Blobbylize Effect는 선택한 Layer를 액체가 감싼 듯한 느낌으로 만들어줍니다.



09. Animation을 시켜보면, 앞서 CC Glass Effect만 준 느낌과는 다른 분위기가 연출되었습니다.



10. 여기에 CC Glass Effect를 한 번 더 적용합니다. 맨 처음 적용한 CC Glass의 Light는 Distant Light(기본값)로 적용된 상태입니다. 이번에 추가한 CC Glass에서는 Light Type을 Point Light로 설정합니다. 원하는 위치에 배치해보면서 이미지를 확인해 보기 바랍니다.



11. 마지막으로 Curves Effect를 적용합니다. 좀 더 대비가 센 이미지를 만들고 싶다면, Curves Effect를 활용하면 됩니다.



12. Animation으로 확인합니다. 이제 반사그레이 Composition으로 가서 이미지가 그냥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수정해보겠습니다. Logo가 지금처럼 세로 형태로 생성되는 것보다 좀 더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것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13. 그림처럼 반사 Map 이미지에 Mask를 적용하였습니다. Feather 값도 적용하여 Edge 부분을 부드럽게 하였습니다.



14. 디테일하게 밝은 부분도 확인하기 위해 일단 Curves Effect는 끄고 확인해보겠습니다. Logo가 생성될 때, 그림처럼 Edge 부분이 좀 더 자연스럽게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5. Animation으로 확인해보겠습니다.




3. 왜 Bump Map이 중요할까?
01. 맨 처음에 Bump Map을 만들었습니다. CC Glass Effect에서 불러들여 사용하기 위해 만든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왜 Bump Map이 중요하겠습니까? 그 이유는 바로 Bump Map의 컬러나 Bevel 값을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서 Output의 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



02. 그림에서 왼쪽이 Bump Map이며, 오른쪽에 그에 따른 결과물입니다.



03. Bevel Alpha Effect의 값을 조절해보겠습니다. Edge를 좀 더 두껍게 하면, 그림처럼 Metallic한 스타일로 바뀌기도 합니다.





04. Fill의 컬러를 어둡게 만들면 좀 더 대비가 강한 느낌으로 바뀝니다.



05. Bevel Alpha Effect의 Edge Thickness의 값을 6으로 입력해 Output의 차이가 어떻게 나는지를 확인해봅니다.




4. 반사 Map을 만드는 방법
01. 사용한 반사 Map이 없다면 어떻게 만들겠습니까?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Effect를 줘서 활용해도 되고, 직접 Mask나 Shape Layer를 가지고 만들면 됩니다. Solid Layer를 하나 만들고, Turbulent Noise Effect를 적용합니다.



02. Size를 키워서 그림처럼 만들어줍니다.



03. 이렇게 만든 후에 Animation을 만들어서 Output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확인해봅니다.



04. 이것도 앞서 작업한 것처럼 Mask를 적용하여 Animation으로 확인해보겠습니다.



05. 여기에 그림처럼 사선 형태의 면을 2개 정도 추가해보겠습니다. 추가하는 이유는 보다시피 부드러운 Gradation 안에서 직선적인 라인이 들어가면 좀 더 현실적인 반사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06. 반사 Map 작업이 모두 끝났으면, Adjustment Layer를 하나 만든 후에 Fast Box Blur Effect를 적용합니다. 만든 Map을 전체적으로 약간 흐릿하게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07. 이번에는 약간 다른 방식으로도 반사 Map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앞서 만든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이는데, 한가지가 다릅니다.



08. 바로 Shape Layer의 Path로 그린 다음에 Gradient Stroke을 적용하여 만든 것입니다. 이렇게 만든 이유는 Path Animation이 가능하므로 손쉽게 Path Animation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09. 이것도 앞서 작업한 반사 Map처럼 전체적으로 Blur를 조금 적용했습니다.



10. Animation으로 확인합니다.




5. Final
01. 이제 마지막으로 Logo Animation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일단, Logo Composition Layer를 하나 복제해 맨 밑에 배치시킵니다. 그리고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자연스럽게 생성되도록 Radial Wipe Effect를 적용합니다.





02. 앞서 작업한 Glossy한 Animation이 생성될 부분에 Logo Composition Layer를 배치합니다. 그런 다음, 반사그레이 Composition Layer의 Mode를 Add로 설정합니다. 그러면, Logo 위에 자연스럽게 Glossy한 느낌이 보이다가 마지막에 사라지는 Animation이 만들어질 것입니다.



03. Animation을 만들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이와 유사한 느낌의 Logo Reveal Animation은 많습니다. 물론, 보여드린 것보다 더 디테일한 작업들도 많습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린 방식은 가장 기본적인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좀 더 유니크한 작업들을 위해서는 다양한 것들을 추가시켜서 나만의 Animation을 만들어 보기 바랍니다.